부동산 취득세의 모든 것, 매수하기 전 꼭 확인해보세요!

 

 

안녕하세요~! 모도링입니다.

 

 

부동산 매수할 때 

반드시 내야하는 세금,

 

바로 취득세입니다.

 

 

 

주택 수, 지역, 취득 방법에 따라

세율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다소 복잡하게 느껴지실 수 있는데요,

 

 

내가 내야할 취득세를 

명확히 알고 있어야

주택 매수시 자금 계획을

명확하게 세울 수 있기 때문에

 

 

꼭 알고 계셔야합니다😊

 

 

 

그러면 오늘은 취득세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세 란?

 

 

 

취득세는 말 그대로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했을 때

 

 

해당 부동산이 있는

지방자치단체(시,도)에 내는

지방세 입니다.

 

 

취득세가 유독 부담스러운 이유는

주택 매매가가 커질수록

금액이 매우 크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얼마나 내야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취득세 세율

 

 

취득세는

‘과세표준 x 세율’ 방식으로 계산합니다.

 

 

 

👉 과세표준은 무엇일까요?

 

 

=> 매매 거래시 

 

내가 실제로 산 실거래가 기준!

(단, 신고한 금액이 정부 고시가격인 시고 표준액보다 낮으면 시가표준액이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 상속/증여 시

 

정부가 고시하는 가격인 시가표준액이 기준입니다.

 

 

 

 

 

자, 이제 얼마나 세금을 내야하는지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 만약 1주택자라면,

 

6억 이하 주택의 경우 1%

6-9억 주택의 경우 1-3%

9억 초과 주택의 경우 3%

 

 

 

✅2주택자가 비조정대상지역에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

 

6억 이하 주택의 경우 1%

6-9억 주택의 경우 1-3%

9억 초과 주택의 경우 3%

 

 

 

여기에 2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에 주택을 취득할 경우,

 

2주택자는 8%

3주택자는 12%

 

 

*조정대상지역

서초구,강남구,송파구,용산구

 

 

 

 

취득세 계산 방법

 

 

요즘은 편리하게 계산할 수 있는

‘부동산 계산기’ 라는 사이트가 있는데요,

 

 

거기에 들어가셔서 주택유형, 면적,

보유주택수, 취득가액을 입력하면

바로 계산이 가능합니다😍

 

 

 

✅무주택자가 7억 아파트를 매수한다면,

 

 

취득세율이 1.67%로

취득세는 1,169만원

 

 

여기에 지방교욱세를 더하면

1,285만 9천원이 됩니다.

 

 

 

 

납부 기한

 

 

✅취득일로부터 60일 이내!

 

 

부동산 소재지 관할

시청, 군청, 구청 세무과에 신고 및 납부하시면 되며,

 

 

요즘은 서울은 이택스,

그 외 은 위택스(Wetax) 등

인터넷으로도 편리하게 신고 및 납부 가능합니다👍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 20%가

붙으니 다들 꼬옥 잊지마세요❤️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은?

 

 

 

 

✅생애 최초 주택 구입인 경우

 

부부 합산 소득, 주택 가액 등

일정 요건 충족 시 

최대 200만원까지 감면 가능합니다!

 

 

우선 본인과 배우자 모두 무주택,

집을 매수 후 3개월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하며

실제로 그 집에 거주를 해야합니다.

 

 


 

 

주택 매수시

반드시 취득세까지 모두 계산해서

예산을 잡으셔야 하는데요,

 

 

꼼꼼한 예산 확인을 통한

내 집 마련! 응원하겠습니다❤️

 

 

 

 

▼내 예산으로 살 수 있는

더 오르는 집을 구하고 싶다면?▼

 

 

 

 

 

 


댓글


야누스22user-level-chip
25. 04. 13. 20:01

취득세 헷갈리는 부분 많았는데 넘 좋은 정보네요 감사합니다❤️

으으음user-level-chip
25. 04. 13. 20:12

취득세 개념 잡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떠라링user-level-chip
25. 04. 13. 20:14

취득세 궁금했는데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