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건축물이 늘면 도심 쇠퇴와 치안 등 여러 사회적 문제가 발생한다. 국토부는 이에 이미 지어진 건축물의 용도를 바꿀 수 있게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 이에 따라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상업·업무시설이 주거시설로 전환될지에 관심이 모인다. 수도권 주택 공급 절벽이 계속 지적되고 있는 것도 한몫하고 있다.
“건축 기준을 완화해 생활형숙박시설(생숙)을 오피스텔로 바꿔준 사례가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고민하는 상황”
최근 지방 뿐 아니라 수도권에도 빈 상가가 많이 생겻다.
지산이나 상가 공실률이 올라가면 치안이 안좋아지고 도시의 쇠락이 가속화되는 만큼 용도변경을 통해 공실을 메꾸겠다는 계획이라고 한다.
소방기준 등의 요건만 충족하면 상업 및 업무시설이 주택으로 쉽게 바뀔 수도 있을 것 같고, 수도권 주택 공급의 갈증도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을거라 보인다.
3기 신도시 상업용지를 축소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국토부 공공주택추진단은 지난달 '신도시 상업용지의 공급 및 관리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따로 발주했다. 전국 상가 공실률이 최근 3년간 꾸준히 높아져 작년엔 10%를 넘어선 탓이다. 하지만 현재 3기 신도시의 상가 공급은 2019년 계획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6년 사이 코로나19 사태 등이 생기며 소비 트렌드가 대거 바뀌어 상가 공급 계획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국토부는 이번 용역을 통해 3기 신도시 상업용지 계획 전반을 다듬을 방침이다. 주상복합건축물의 주거 외 비율을 하향 조정하는 대책도 살펴볼 예정이다.
코로나19는 전세계적으로 생활 방식을 바꿨고 소비 패턴도 다각화시켰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었기에 상가 공실률이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추세로, 2019년 기준으로 건설되고 있는 3기 신도시의 상가 공급량 계획에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내용이다.
이대로라면 앞으로 지어질 주상복합아파트의 상가비율도 어느정도 축소될 수 있을거라는 전망이다.
주상복합 아파트에서 상가비율이 어느 정도 축소될지, 그 축소비율로 인해 한국의 대중적인 주거문화인 아파트에 또 어떤 트랜드가 생길지 좀 기대가 된다 ㅎㅎㅎ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쩡쩡쩡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