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방투자기초반27기 49조 만평이_가치를 가격으로 읽어내는 법!_2주차 강의 후기

  • 25.04.14

개별성을 이해하자!

 

단지의 상품성이 특출나면 생활권 순위를 벗어나는

선호도를 보이기도 하고

 

1군 생활권에서도 연식에 따라

큰 가격 격차를 보일 수도 있음을 알게 됐습니다.

 

현 임장지나 앞마당에도 주변에 빌라밖에 없고

내부만 짱짱한 단지들이 생각보다 비싸다 싶었는데

평지에 조경이 뛰어나고, 초등학교도 인근에 있다보니

그런 선호도가 나온게 아닐까 싶습니다.

 

현 임장지는 부산광역시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구입니다.

그래서 1군,2군 생활권은 구축도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반면

그보다 떨어지는 생활권은 연식에 따른

가격격차가 있어서 수요의 크기(인구수)에 따라

생활권영향력이 달라지고

광역시더라도 수요가 적은 생활권은

중소도시처럼 단지 개별의 특징이

가격에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됐습니다.

 

튜터님 말씀처럼 개별성을 파악해서

비교평가해야겠다 싶습니다.ㅎㅎ

 

 

 

지방의 학군지 = 학군+학원가+ㅇㅇ

 

튜터님께서는 지방 학군지는 학군+학원가(양질)에 더해

부자커뮤니티가 있어야한다고 말씀주셨는데

현 임장지에서 생각하던 중요요소와 딱 들어맞아서

신기했습니다.

 

핵심 요소로 ‘학군’이나 ‘학원가’ 뽑자니

뭔가 모자라다는 느낌이었는데

부자커뮤가 더해지니 ‘아 이느낌이야!’싶었습니다.

 

현 임장지는 내륙 중앙에 있고 교통편이 좋아서

주요 일자리의 배후주거지 역할을 합니다.

지역 내 관공서도 많아 거주자 소득이 평균 이상이구요.

때문에 살기좋은 환경과 더불어

그들만의 커뮤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시세지도 그리는 것에서 멈추지 말고 읽어내기

 

핵심선호요소를 중심으로

생활권별 순위를 나누고

[선호 신축/선호 구축/가성비 신축/가성비 구축]의

가격을 그룹핑하며 가치와 가격을 연결해봐야겠습니다.

 

지금까지는 생활권 별로만 시세지도를 그리고,

전체 지도에도 각 생활권 최고가만 뽑았는데

좀 더 세분화된 그룹핑을 보며 가격감을

만드는 것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번에는 앞마당인 동래구와의

지역 대 지역 비교평가를 꼭 해야하니

두 지역을 이은 시세지도가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ㅎㅎ

 

 

 

투자전략 3개 핵심키워드

 

핵심 키워드를 만들어넣고

뒤로가면 단지만 보고, 생활권만 봤었는데

요번에는 더 명확하고 가치와 연결된

핵심 키워드를 뽑고 가격과 연결해보겠습니다.

 

 

 

2주차 강의 감사드립니다!

배운 것들 임보에 입히며 적용해나가기!💪

 

 


댓글


By.01
25. 04. 14. 10:05

크~ 후기 쏙쏙 들어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MingKi
25. 04. 14. 16:47

만평이님 부산까지 다녀오신거에요? 멋져브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