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2주차에는 잔쟈니 튜터님께서 창원 지역분석과 지방임장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셨는데요..!!
마지막에 해주신 진심 어린 말씀은 정말 찡했습니다😭
왜 입지분석을 하는가
튜터님께선 초반 입지분석 파트에선 ‘왜’에 대해서 강조하셨습니다.
“입지분석을 하는 이유는 결국 그 안에서 사람들이 어디에 살고 싶어할까의 관점에서 보는 거에요”
-잔쟈니 튜터님-
즉, 내가 임장하고 임보를 쓰는 모든 과정이 부동산의 수요,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수요를 파악한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임을 새삼스레 다시 깨달았습니다.(자꾸 배워도.. 흐려지는 기억😂)
왜냐하면 수요가 결국 전세가로 이어지고, 지방에선 전세가가 정직하게 매매가로 반영되기 때문이죠..!ㅎㅎ
기계적으로 템플릿에 맞춰 입지분석하고 손가락만 움직이며 시세따고 있던 제 모습을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 적용할 점 : 시세분석과 단지분석을 템플릿에 채워넣는 것이 아닌, 내 생각 + 투자자로서 거주수요를 중심으로 보고 파악해서 양보다 질에 더 초점 맞추기
투자전략 세우기!
지역공부에서 투자로 이어지려면 “투자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셨습니다.
지방은 지역마다 선호하는 요소가 뾰족하기 때문에, 지역조사, 임장, 임보를 통해 투자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검증과정에 대해서도 알려주셨는데요.
가설을 세우고 ‘투자전략’을 비교할 수 있는 단지를 뽑아서 가격을 다시 붙여보는 과정이 신선했습니다.
예를 들어 신축이 투자전략인지 보려면
입지좋은 구축 vs 입지 덜 좋은 신축 비교를 통해 가설을 검증해나가는 것이죠~
그 과정에서 바로 아실 그래프를 붙여보기 보다는 제가 세운 투자전략을 하나씩 넣어보고
내가 먼저 “직접” 결론을 내보는 게 중요하다고 하셨습니다!
정말 중요한 시세지도!!!
기계적으로 숫자 적어넣는 시세지도가 아닌
내가 파악한 투자전략과 가격이 맞는 지 볼 수 있는 시세지도를 그리고
반드시 가격 결정 요소를 같이 적어야 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 이번 과제에 반영하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투자에 대한 마음가짐에 대해 말씀해주셨는데요.
사실, 집 1채 산다고 인생이 바뀌는 것이 아니기에 실력을 쌓아가는 과정에 집중해야 함을 배웠습니다.
(물론 자산을 쌓아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결과가 아닌 과정을 만들어가는 것!)
그리고 지방임장이 힘들어서 포기하고 싶거나 내 맘대로 효율을 추구하는 게 결국은 효율이 아니다
투자에서 가장 효율적인 건 실패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요즘 들어 꾀를 부리려던 걸 어찌 아시고…ㅎㅎ
인풋에 있어서 만큼은 효율을 추구하지 않고, 우직하게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시 한 번, 지방투자의 프로세스, 튜터님의 관점을 알려주신 잔쟈니 튜터님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