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300 포트폴리오] 연금저축 계좌 1개 운용, 2개 운용 질문드립니다~

[월300 포트폴리오 강의] 2주차 내용 중 

연금저축 계좌 1개와 2개 운용 시 실수령 총액차 관련(교안 48~49 페이지) 질문입니다. 

 

35세부터 월 200만원씩 10년을 납입한 후 55세 이후 300만원씩 인출했을 때

연금저축계좌 1개와 2개로 인출하는 방식의 실수령액 차이 계산에 관한 질문입니다. 

 

질문1. 납입한도 연 1800만원이면 10년 최대 납입한도 1.8억 아닐까요?

월 200만원 10년이면 총 2.4억이 되어 최대 납입한도를 초과하게 되는데, 

계좌를 2개로 늘리면 납입한도도 2배로 늘어날까요? 

 

 

질문2. 세액공제 받은 금액에 대한 적용세율이 왜 다를까요?

55세 이후 연금 수령이라면 1개의 계좌에서도 세액공제 받은 금액에 대해서 기타소득세 16.5%가 아닌

연금소득세 5.5% 부과하는 것이 아닌지요?

(강의에서는 계좌 1개일 때 기타소득세 16.5%, 계좌 2개일 때 연금소득세 5.5%를 적용하셨는데, 

세율 차이가 왜 나는걸까요?)

 

 

질문3. 조기은퇴 케이스의 경우 계좌 2개가 운용적 측면에서 편리하다는 의미일까요?

55세 이전(조기 은퇴 케이스)에 인출해 쓰는 경우라면 

계좌 2개가 자유롭게 인출 가능한 계좌와 추후 연금으로 수령할 계좌를 구분할 수 있어서 

활용이 편리하다는 점에서 2계좌 운용의 장점이 크다는 것에 의미를 두면 될까요?

 

그냥 하나의 1계좌로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만 55세 전에 인출하고, 

세액공제 받은 것은 55세 이후에 연금수령하여 연금소득세 5.5%(세금 이연 효과)를 내는 것이 가장 베스트 아닌지요? 

(이럴 경우에도 2계좌 운용이 더 유리한지요?)

 

 

좀 어렵고 복잡하여 정리가 깔끔치 못한 점 죄송합니다 ㅠㅠ

하지만, 중요한 내용인 것 같아 질문 남겨봅니다. 

 

 

답변 주신 분께 미리 감사드립니다~~~ 


댓글


나에게투자란user-level-chip
25. 04. 15. 22:15

안녕하세요 워드 20님!!!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덕분에 저도 한번 다시 살펴보는 계기가 되었네요!! 제가 틀릴 순 있지만 한번 답변드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1 : 납입 한도 연 1,800만원이면 10년 최대 납입한도 1.8억 아닌가요? 답변1 : 네 맞습니다. 연금저축계좌 2개를 운용한다고 해서 한도가 늘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제 생각으론 금융러님의 교재에서 월 200 납입은 ISA 계좌도 같이 납입하여 만기 시 연금저축에 이전했을 때 경우 같습니다. 질문2 : 세액공제 받은 금액에 대한 적용세율이 왜 다를까요? 답변2 : 해당 경우는 1개 계좌일 때에는 연금 개시를 안한 경우입니다. 연금 개시하게 되면 연금 개시 이 후 워드 20님께서 추가 소득이 발생하였을 때 연금계좌를 이용하여 세액공제를 또 받고 싶을 때에는 새 연금저축 계좌를 만들어야 하는데 연금저축 개설 시 5년동안 보유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2개 계좌를 운용하게 되면 세액공제 받는 계좌를 연금 개시하더라도 세액공제 받지 않은 계좌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개시를 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즉 1개 일 때는 추가 소득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를 생각하여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 40개월 + 16.5% 세금을 뗀 금액 인출한 경우입니다. 질문3 : 조기은퇴 케이스의 경우 계좌 2개가 운용적 측면에서 편리하다는 의미일까요? 답변3 : 우선 연금저축 계좌 2개의 장점을 한번 다시 생각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연금 저축 계좌 2개 운용 장점 : - 답변 2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연금 개시 후 추가 소득이 발생하여도 세액공제X계좌 활용 가능 - 연금 개시 시 연금 수령 한도는 1,500만원 (1,500 초과 시 추가 세금) 월 300을 수령하고 싶다면 필연적으로 연금저축(세액공제X)계좌로 부족한 부분 인출해야 함 - 인출 시 세금 부여 되는 금액과 자유롭게 인출 가능한 금액을 쉽게 알 수 있음 저가 정리한 2개 운용 시 장점은 위와 같습니다. 즉 월 300을 세금을 최대한 적게 내고 싶으시다면..? 연금저축 계좌를 2개 사용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라는 생각입니다!! 부족한 답변이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