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도에도 기준이 필요합니다 ( feat. 매도 의사결정 3단계 ) [숨유지]

안녕하세요.

월부에서 숨을 오래 유지하고 싶은

숨유지입니다.

 

' 어떤 기준으로 매도하는거지? '

' 수익이 안났는데, 매도가 맞을까? '

이런 고민 해본 적 있으신가요?

 

16개월이란 보릿고개 구간을 잘 지나

기존 중소도시 지방투자 물건을

매도하게 되었습니다.

 

 

그 과정에서 했던 한 달간의 고민,

의사결정 기준 여정을

남겨보고자 합니다.

 

참고. 1호기 경험담 : https://cafe.naver.com/wecando7/9507838

500번의 고민 501번째 선택, 나의 1호기 (feat. 플피해도 될까요 튜터님?) [숨유지]

 

2호기 경험담 : https://cafe.naver.com/wecando7/10539014

종잣돈이 적은 싱글 투자자, 랜드마크를 매수했습니다 ( 1편. 2호기 투자 기준 ) [숨유지]

 


 

제가 매도 의사결정시

고려한 사항은 아래 3가지입니다.

 

1/ 목표수익률 달성했는가?

2/ 보유, 감당이 어려운가?

3/ 더 좋은 물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가?

 

한개씩 뜯어보겠습니다.


 

1/ 목표수익률 달성했는가?

가격수준은?

 

1호기

2호기

목표수익률 달성,

비싸다

목표수익률 미달성,

아직 싸다

 

목표수익률 달성 경우

: 수익이 났다면, 사실 단순합니다.

우리가 바닥에서 매수할 수 없듯

천장에서 매도할 수도 없습니다.

 

지방에서 중소도시 5천 이상 수익이 났다면

시장이 좋아도 욕심부리지 않고

매도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목표수익률 미달성 경우

: 수익이 나지 않았을 때는

여전히 싼 구간에 속하는지

내가 단순히 심리적으로 힘들어서

감정적인 매도를 하는건지

아니면 매도 후 계획이 있어서인지

메타인지 해야 합니다.

 

저같은 경우는 팔아도 본전.

손실은 아닌 구간이었기에

매도 다른 기준을

고려해볼 수 있었습니다.

 


 

2/ 보유, 감당이 어려운가?

 

1호기

2호기

수익봤기에

매도 결정 완료

역전세 감당 가능,

세금 문제 없음

하지만…

 

저의 2호기는 공급이 많은 도시입니다.

매수시에도 알고 있었고,

감당가능한 수준이기에 투자했습니다.

 

그당시엔 수도권/광역시 투자가 어려워,

할 수 있는 투자금으로

가장 좋은 것을 택했으나

그사이 시장과 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역전세로 추가 투자금(2~5천)이 들어간다면

' 이 투자금이면 중소도시가 아니라

광역시도 갈 수 있는데 '

 

' 이렇게 돈이 묶이면 다음 투자가

수도권 → 광역시로

변경될 수도 있다다. ' 라는

기회비용 관점에서

1차적으로 매도 결정을 내렸습니다.

 


 

3/ 더 좋은 물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가?

 

1호기 매도시 투자금

1, 2호기 매도시 투자금

2억

2.5억

 

매도의 핵심은 ' 팔고 무엇을 살 것인가? '입니다.

매도 했을 때 생기는 돈으로

어떤 단지를 살 수 있는지

후보를 리스트업하면서

보유 물건을 언제/얼마에 매도해야하는지

감을 잡아갈 수 있었습니다.

 

2호기 매도시 나오는 돈이 소액이거나

보유시 역전세 투자금 등의 리스크 적거나

1채 매도시 - 2채 매도시

투자 가능한 단지의 가치가

크게 차이 나지 않았더라면

이 자산을 지켰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

1채만 매도할 때와 2채 모두 매도할 때

매수가능한 아파트의 가치가 꽤 달랐습니다.

( ex. 5급지 구축 → 4급지 신축 )

 

튜터님께 투자후보로 보고있는

단지들을 말씀드렸을 때

' 그 정도면 괜찮은 투자다 ' 고 답해주셔서

한뼘 더 용기낼 수 있었습니다.

 

번외) 케이스 스터디

 

작년, 올해 미니 상승장때

주변에서 이런 질문이 정말 많았습니다.

 

‘ 제 물건은 5급지 구축인데,

보고있던 3급지 신축은 날라가요 ’

 

부천 구축, 동작구 신축이 있다면

일반 적인 경우, 동작구 신축에 흐름이

먼저 오는게 당연합니다.

 

당연한걸 속상해할게 아니라

매도하기로 결정했다면

내 물건 가격이 수요자에게도

매력적이도록 내둬야 합니다.

 

상승장에선 본전 생각하면

매수희망단지와의 갭이 더 벌어질뿐.

 

내 물건까지 흐름이 오길 기다리는

그 시간도 기회비용입니다.

 

매수든 보유든 매도든

조금이라도 손해보기 싫은 마음을 버릴 때,

현명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었습니다.

 

다시 돌아와서 말씀드리면…

이와 같이 매도의사 결정시엔

기존 투자물건의 시장 분위기

갈아탈 투자물건의 시장 분위기

투자자의 자산 및 실력 등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합니다.

 


 

< 매도 의사결정 기준 요약 >

 

1/ 목표수익률 달성했는가?

2/ 보유, 감당이 어려운가?

3/ 더 좋은 물건으로

갈아탈 수 있는가?

 

 

< 매도 의사결정 결과 요약 >

 

1호기 : 수익이 났으니

욕심 부리지 않고 매도

2호기 : 수익이 나진 않았지만,

더 가치있는 자산으로

갈아탈 수 있기에 매도

 

 

저와 같이 매도 고민하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될 수 있길 바랍니다.

 

 

다음은 매도 스토리를

조금씩 풀어보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이 글은 꼭 보세요! 월부 BEST 글>

 

현금 2-3억 있다면 여기로 가세요.

제 2의 마포가 될 겁니다. (+인기 아파트 가격 정리본 제공⭐️)

 

▼아파트 리스트 바로 공개▼

https://link.weolbu.com/4hb0H5k

 

------------------------

 

월급쟁이부자들은 월급쟁이들의 내집마련과 행복한 노후를 돕습니다.

원하는 목표 꼭 이룰 수 있도록 월부가 함께 하겠습니다.


댓글


우아한여사user-level-chip
25. 04. 18. 12:03

숨유지님 매도 의사결정 기준 잘보고 익히고 갑니다. 기회가 오면 꼭 적용해볼께요 !

사랑랑user-level-chip
25. 04. 22. 20:25

닉네임 너무 예뻐요~ 기회비용의 측면에서 매도를 고민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