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벚꽃 향7ㅣ와 함께 하는 벚꽃 임ㅈ6 쏭파고] 3강 후기 - 단지 내부보다는 외부!

실전준비반 - 1억 더 오를 아파트 임장, 임장보고서로 찾는 법

 

안녕하세요.

투자의 알파고가 되고 싶은 쏭파고입니다. 😊

 

늘 어려워했던 주제였던 단지임장과 단지분석에 대한 강의라서,

실준반 듣기 전부터 기다렸던 내용이었습니다. 더군다나 늘 재밌고 밝고 에너지넘치게 강의해주시는,

코크드림님께서 해주셔서 더욱 몰입해서 들을 수 있었습니다. ^^

 


#1. 단지 대 단지로 보는 연습

 

월부 초보일 때(지금도 초보지만) 가졌던 물음들, A지역이 좋냐 B지역이 좋냐 라는 물음에,

동료들이나 튜터님은 늘 그렇게 물어보면 일반적인 대답을 할 수 밖에 없고 퉁쳐서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단지 대 단지로 물어봐야 한다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번 강의 초반에도 단지임장과 단지분석의 필요성을 설명해주시면서 우리는 하나의 단지에 투자하는 것이지,

특정 지역에 투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번 강의가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좋은 지역(생활권) 내에서도 선호도가 덜 좋은 단지가 있는 반면, 덜 좋은 지역(생활권)에서 선호도가 더 좋은 단지가 있기 때문에 비교평가의 베이스는 단지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2. 물건에 대한 확신

 

코크님께서 투자 사례를 들어주시면서, 밤 9시까지 기다리는 와중에도 매도인이 그 자리에서 매도 가격을 올렸다는 대목이 있었습니다. 흔히, 눈 앞에서 가격을 올리면 마음도 조급해지고 기분도 나빠질만도 한데 감정을 섞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내면의 힘도 있었겠지만 그 물건의 가치를 잘 알고 계셨기 때문이었습니다. 즉, 매도인이 올린 가격에도 충분히 싸기 때문에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었다는 내용에서, 정말 가치를 잘 알고 시세를 잘 파악해두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3. 임보는 투자계획서

 

임장보고서는 누구에게 보고하거나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내가 아파트에 투자하기 위한 투자계획서라는 말이 예전부터 너무나 와닿았습니다. 내가 쓰고 있는 임보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야 작성하는 마인드가 달라질 것 같기 때문입니다. 장사를 하려는 사람이 주변 상권에 대한 분석을 하듯이, 투자를 하려는 우리도 해당 지역과 단지에 대해 잘 분석을 해야 하고, 그런 내용이 담긴 것이 바로 임장보고서, 투자계획서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과제로서의 임보가 아닌 나의 생각과 내가 해야할 행동을 담을 수 있는 투자계획서를 작성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습니다.

 


#4. 강남접근성은 지역간 비교시 중요

 

강남접근성이 크게 차이날 지역간의 비교시에는 이 강남접근성이 중요하지만,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비슷한 지역 내에서는 이 외의 입지요소가 크게 좌우할 수 있다고 알려주셨습니다. 예를 들면, 환경이나 학군이겠지요. 강동구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개념을 잘 설명해주셨으며, 일반화를 하지 않도록 예시와 함께 잘 설명해주셔서 잘 이해가 되었습니다. 향후에도 단지 분석시, 지역간 비교시 첫번째 강남접근성(교통)을 보고, 지역내 비교시에는 기타 요소들까지 함께 비교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5. 쉽게 변하지 않는 입지요소가 더 중요!

 

단지임장 초반에는 단지의 내부 데이터에 더 눈이 갔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단지의 위치, 즉 입지요소가 더 중요하다고 말씀을 해주셔서, 앞으로는 단지의 교통, 학군, 환경을 우선시하며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이렇게 생각하는게 중요하다고 하신 말씀이 기억납니다. “교통이 좋지만 동간거리가 좁아 쾌적하지 않다(X)”, “주변 어수선하지만 역 접근성이 좋아 교통이 편리하다(O)”

이 부분을 깨달은 것만으로도 이번 3주차 강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배웠다는 느낌이 듭니다. ^^

 


댓글


쏭파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