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셋 파킹 하겠다는 사람 보세요(올파포 조합원의 말할 수 없는 비밀)

안녕하세요

부내나는 삶을

꿈꾸는 몽부내입니다.

 

ogq_580ef3722a7f3-22
  •  

 

부동산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다면,

수도권 상급지가 얼마나 고공행진으로

날라가고 있는지 체감하실 겁니다.

 

그리고 여러분들이 피부로 느끼는

그 열기는 사실입니다.

 

그림2.png

 

 


수도권 상급지 위주로

전고점을 뚫은 단지 비중이

평균 50%를 넘어가고 있습니다.

 

전고점 대비 70% 이상 올라온

단지들까지 포함한다면

사실상 그 비중은 95% 이상입니다.


그만큼 상급지는

이제 전고점이 무의미할 정도로

높은 가격대를 받아주고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많은 분들이

저에게 '에셋 파킹'의 개념으로

중상급지 구축 단지를 가져 오십니다.

 

*에셋파킹이란? 전세금 상승분을 기대하기보단

좋은 자산을 장기 보유한다는 관점

 

충분히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내가 정말 '에셋 파킹'의 목적으로

좋은 자산을 사고 싶은 것인지,

 

아니면 좋은 자산이 오르니까

조급한 마음으로 잡고 싶은건지는

스스로 되뇌일 필요가 있습니다.

 

저는 좋은 자산을 장기 보유했을 때의

이점도 많이 보았지만,

반대로 그로 인해 많은 기회 비용을

내어주었던 케이스도 무수히 보았습니다.


여러분들은 둔촌주공 조합원으로서

드디어 올파포에 입주한 지인이 있다면

어떻게 인사를 건네실건가요?

 

와 정말 축하 드립니다!

부럽습니다!

 

아마도 이러시겠죠?

 

20년 전 매수했던 가격을 들으면

더욱 놀라실겁니다.

 

와 84를 7억에요?!

분양 받자 마자 15억 버셨네요!

정말 부럽습니다!

 

근데 정말 그럴까요?


 

2005년 당시,

둔촌주공 84의 가격은 7억이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강남 대치동에 위치한 대치삼성래미안 84의

가격도 동일하게 7억이었습니다.

 

지금은 어떻게 변했을까요?

 

화면_캡처_2025-04-25_124901.jpg

 

 

2005년만 해도 동일한 가격이었던

두 단지가 대세상승장을 겪을수록

자산의 차이가 배로 차이나기 시작합니다.

 

2005년엔 0억

2007년엔 2억

2020년엔 4억

 

늘 그랬습니다.

자산 시장은 하락장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가

상승장에서는 배수의 차이를 내면서

격차를 벌렸습니다.

 

하지만 더 놀라운 건

이겁니다.

 

대세하락장이었던

2012년에 압구정으로 갈아탔더라면?

 

화면_캡처_2025-04-25_125955.jpg

 

 

실제로 2012년 당시,

대치동 삼성래미안과 압구정 현대3차는

1억 남짓의 차이로

충분히 갈아탈 수 있었던 시기였습니다.


둔촌주공을 2005년에 매수했다는 것은

단순히 강남 00년식 아파트에 대한

기회비용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강남 00년식 아파트를 디딤돌로

압구정 아파트로 입성할 기회 비용도 포함됩니다.


제가 이 글에서 강조하고 싶은 것은

둔촌주공을 사지 말았어야 했다가 아닙니다.

 

둔촌주공을 매수했어도

충분히, 넘치는 시세차익을 얻었습니다.

 

다만, 이런 단지들을 재건축을 바라보고

에셋 파킹을 한다는 것이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장미빛만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는겁니다.

 

2005년 당시에도

둔주는 5년 내로

무조건 재건축 된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됐나요?

20년이 흐른 2025년에

입주가 마무리 되고 있습니다.

 

흘러가버린 20년에 대한 기회비용,

추가로 납부해야 하는 분담금 비용,

안될까봐 조마조마한 마음쓰임 비용 등까지도

여러분들이 함께 생각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내가 정말 에셋파킹을 해야 하는 사람인건지,

그게 내 인생 전반에서 더 효율이 나는 선택인건지를

다시 한 번 고민해보시고 선택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


허씨허씨user-level-chip
25. 04. 25. 13:25

와 둔주 조합원들 올파포 부럽다~~ 이렇게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 투자자라면 어떤 사고를 해야하는지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험블user-level-chip
25. 04. 25. 13:58

어떤 선택을 할 때 늘 기회비용을 볼 수 있어야겠네요! 생각하지 못했던 관점을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튜터님!

민민이user-level-chip
25. 04. 25. 14:22

투자에 대한 또 하나의 관점을 가지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튜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