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eep 한 단지임장>
다지의 선호도와 투자하기 좋았던 단지들의 공통된 특징이 무엇인지 꼭 알아야 한다
그래야지 선호와 비선호, 시세가 왜 그렇게 형성되는지 알 수가 있다.
1page 가설검증 페이지는 주장 - 근거 결론 - 적용 을 해야 한다
<내생각>
지금까지 입지요소를 정하고 가치와 가격만을 놓고 이단지는 어떻다 라고만 얘기하였는데,
단지분석에서 전체적인 흐름을 가져 올 수 있고 투자랑 연결되게 하기 위해서는
단지분석이 의미있는 장표가 되어야 할것 같다는 생각 하였다.
<매물임장> - 매물털면서 가격대를 잘 보아야 한다
적어도 이정도는 보자
매매 절대가 별 84기준 대표단지 5개(최소 40~60개는 봐야한다)
매물임장 체크리스트 준비하기!
가격 잘모르겠으면 23년 초, 24년초, 저층가격, 실거래 보기!
매물임장 결과를….. 와..인근유사평형 전세..
호가정보가 나의 투자 실력이 될 수 있다.
<내생각>
매물임장 하면서 스프레드 시트로 하는데 지도로 한번 준비해보자!
주변 시세들을 좀 보면서 가격대를 잘 보기!
<비교평가>
비교평가를 잘한다는 것은 지역의 선호도를 명확히 알고 투자 범위와 우선순위를 알고 본질을 잘 보는 것이다.
→ 사람들이 더 갖고 싶어하는 단지들을 선택하고 내투자에 적용해야 한다
비교평가 검증을 위해서는 절대적 저평가 인지
지역간 비교평가 (가격만 같음?)
- 앞마당 (같은규모끼리) 지역간 비교평가
- 앞마당 (다른규모끼리) 지역간 비교평가
1)생활권 순위 보기! (지역에서 생활권 순위 + 생활권내 0순위 단지 인지)
2) 가격 붙여보기
3) 정리 (도시(규모) → 생활권 순위 → 생활권내 순위) →지역 내 생활권 더 높아 가치가 더 높음
*조건들이 다를 때 어떻게 가치평가를 해야 할까요!!! (내가 궁금했던 부분이다!!!!!)
→ 비싼건 비싼것, 싼건 싼것끼리 , 지방은 같은 규모끼리 1차, 다른규모끼리 ㄱㄱ
*그래프 이용
→ 흐름이 같은 지역 내 단지끼리 비교
→ 5년이상 지난 단지로 비교 + 단지 개수는 2개씩 비교
→ 충분히 지역을 이해하지 않은 상태ㅑ에서 그래피 비교 했을때 의미가 없다
<bm>
선호도 한판정리를 하였는데, 지도위에 올려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었고,
이번 비교평가에는 올려보아야 겠다고 생각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