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류보카도 입니다.
2강은 랜드마크의 아버지 프메퍼님이 맡아주셨습니다.
수술을 하셨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들었던 터라
강의 준비하시는데 힘드시진 않으셨을까.. 했지만
이게 바로 실전 강의다..!!!
라는 느낌을 주는 아주 갓벽한 강의를 들고 와주셨습니다..♡
사실 강의 전체적인 내용이 인상깊었는데요.
“지방에서 선호도 있는 단지 투자하는 방법”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분위기 임장부터 비교평가 결론까지
프메퍼님이 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강의가 진행되었습니다.
여기에서 프메퍼님의 임장보고서 예시를 보여주셔서 더 이해하기 쉬웠습니다.
강의에서 나온 지역과 단지가 앞마당인 곳이었지만
단지 선호도에 대한 확신은 없었던 상태인데
해당 단지들에 대한 강사님의 생각을 옅볼 수 있었던 점도 좋았습니다.
아직은 단지 비교평가를 할 때 천천히 하나씩 비교를 해야 그나마 이 단지가 좀 더 낫나?
라는 결론을 얻는데 계속 하다보면 강사님처럼
‘음 ~ 이정도면 이 단지보다 저 단지가 낫겠네’
이렇게 바로 감이 오는 때가 오겠지요?ㅎㅎ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1. 가설 검증
2. 지역간 비교평가
3.투자 그룹핑_5분위 시세표
입니다.
1. 가설검증
가설 검증은 도대체 어떤 프로토콜로 하는 걸까?
궁금증이 있어도 물음표만 적고 끝나는 내용을
어떻게 데이터를 뽑아내서 검증을 하지?
가설검증은 고수들만 하는 영역이다..
가설검증에 대해서는 이렇게 생각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가설검증에 대한 자세한 프로토콜을 강의로 해주시다니..
주장(궁금증) → 근거 → 결론까지 도출한 후
결론에 나온 그 지역 단지들의 공통적인 특징을
그 지역의 구체적인 단지에 적용시키는 과정까지..
증말로 하나도 빠짐없이 놀라운 내용이었습니다.
이번 임보에는 가설검증까지 해내는데 어렵겠지만
다음 임보부터는 꼭 적용해보고 싶습니다.
2. 지역간 비교평가
지역이 다른 두 단지의 비교평가
생각만 해도 어려운데요.
프메퍼님이 그 어려운 걸 쉽게 하는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중요한 것은 비교평가 방법을 단계별로 정석적으로 확인해야하는 것!
그리고 결국 비교평가는 핵심은 선호도라는 것!
지역 인구
그 지역 안에서의 생활권 순위
그 생활권 안에서의 단지 선호도 순위
이것들을 다 고려해서 그 지역 안에서 사람들이 얼마나 그 단지를 좋아하는지에 따라
더 가치가 높은 단지라고 판단할 수 있다는 점 매우 인상 깊었습니다.
이 부분은 이번 임보에 바로 적용해보겠습니다.
또 하나, 알고는 있었지만 전고점 맹신하지 말라
지방 시장 특성상 각각의 지방의 시장 사이클이 다르기 때문에
그 사이클을 이해하지 않고 무턱대고 전고점으로 단지를 줄세우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다시금 알게되었습니다.
3. 투자 그룹핑_5분위 시세표
여러 강의에서 들어봤던 5분위 시세표
하지만 사실 엄두가 나지 않아서 시도를 해본 적이 없습니다.
매번 시간에 쫒겨 제출하느라
제 임보의 결론은 항상 단촐하답니다 ..ㅎ
투자 그룹핑을 통해 투자 후보 단지를 선택하고
5분위 시세표를 활용해 투자 우선순위까지 정하니
단지의 가치와 가격에 대해 뾰족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점과
이것이 실제로 투자할 때
‘이 가격이면 무조건 산다’ 라는 확신이 생긴다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
정말 1강부터 4강까지 BM덩어리가 넘쳐나서
5번이고 10번이고 여러번 듣고 싶었던 강의었습니다.
강의의 10분의 1도 적용하기는 어렵겠지만
강의에서 말씀하셨던 것처럼
할 수 있는 것 하나씩 적용해나가보겠습니다.♡
많이 틀려야 선명해질 수 있다 잊지말자!!
댓글
류보카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