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에스더케이] 독서후기 - 일의 격 (신수정)

  • 25.04.30

 

☆ 이 책에서 얻은 One Thing
One Message
선택과 반복
One Action
피드백 요청과 수용
   
0. 책의 개요
책제목일의 격 성장하는 나, 성공하는 조직, 성숙한 삶
저자 및 출판사신수정 / 턴어라운드
읽은 날짜2025.04.30
핵심키워드 3가지성장, 반복, 집중
총점(10점 만점)10점
   
1. 저자 및 도서소개
저자소개현재 KT의 Enterprise 부문장을 맡고 있다. 공학과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글로벌 기업, 창업, 벤처, 중견기업, 삼성, SK 등의 기업에서 일, 리더십, 경영 역량을 쌓았다. 인간을 이해하는 데 관심이 많아 다양한 코칭, 심리, 자기계발 코스를 수료하였다. 삶, 일, 경영과 리더십에 대한 통찰을 나누어 사람들에게 파워와 자유를 주고, 한계를 뛰어넘는 비범한 성과를 만들도록 돕는 선한 영향력을 추구하는 것을 삶의 미션으로 삼는다. 스스로의 역할을 Inspiring Coach 이자 Leader로 정의한다. 페이스북 등 SNS에서 일과 삶에 대한 글로 많은 팔로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팔로워들에게 ‘페이스북의 현인’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며, 포스트 하나마다 천 개 이상의 ‘좋아요’와 수백 개의 공유가 이루어지고 있다. 저서인 베스트셀러 ‘일의 격’은 많은 독자들에게 일과 삶의 나침반이 된다는 평을 듣고 있다.
책소개『일의 격』은 페이스북에서 일과 삶에 대한 경험과 통찰로 수많은 직업인들에게 공감과 열광적 지지를 받으며 ‘선한 영향력’을 실천하는 KT 신수정 부사장의 글을 엮은 책이다. 오랜 시간 축적해온 다양한 현장 경험과 수 천권에 달하는 독서의 흔적으로 채워져 있다. 성장, 성공, 성숙이라는 세 가지 핵심 주제를 바탕으로 개인과 조직, 그리고 우리들의 삶을 더 가치있게 변화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해법을 제시한다.
   
2. 목차
추천사: 288인의 추천, 그리고 응원의 말. (From. 페이스북)

들어가는 글

1장. 成長(성장) | 일의 성과를 극대화 시키는 기술
_ 〈성장〉의 기쁨과 커리어를 위한 핵심단서

2장. 成功(성공) | 조직을 성공으로 이끄는 리더십의 발견
_ 〈성공〉하는 조직과 리더십 위한 조언

3장. 成熟(성숙) | 일과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방법
_ 〈성숙〉한 삶을 위한 통찰

마치는 글
   
3. 본깨적
Key words: 꾸준함, 피드백, 태도, 원씽, 기버, 노력하는 능력, 축적과 발산, 의도적인 연습
[내용 요약]
1. 성장을 위해 필요한 것: '발산'되기 까지의 '축적' - 꾸준함, 피드백, 몰입 등
2. 가벼운 실행 -> 피드백 -> 발전
3. 중요한 것은 시간이 아니라 횟수, 의도적인 연습
4. 습관이 들 때까지 알려준 방법을 실행
[깨달은 점]
''성장' 파트 많은 부분이 굉장히 와 닿았다.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환경에서 피드백을 수용하고, 행동하고 다시 피드백 받고 개선하는 것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새삼 느끼게 되었다. 피드백을 받기 전 까지는 그 환경이 얼마나 좋은 환경인지 아예 몰랐고, '성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생각하지 못 했던 것 같다. 그저 하던 것을 반복하면 되는 줄 알았고, 시간을 쏟으면 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핵심은 하던 대로 계속 하는 것이 아니라, 계속해서 안 되는 부분을 개선하며 반복하는 것이었다. 그저 시간을 들였다고 만족할 것이 아니라 '의도적인 연습'이 중요한 것이었다. 발전 하고 싶다면 잘 하는 사람이 하는 것을 모방하는 것이 가장 쉬운 일이라고 하는 것이 굉장히 이해된다. 성장하고 싶다면 잘 하는 사람을 따라 하고, 내가 피드백 받을 수 있는 좋은 환경에 있다면 그 환경에 있을 수 있음에 감사하고, 피드백 받은 것을 수용해서 행동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용할 점]
하던대로 하지 않고 피드백을 구하고 개선한다
기억하고 싶은 문구
p.43그러므로 천재가 아닌 우리 같은 보통 사람들의 성공 비결은 단순하다. 나이가 먹어도 꾸준히 실행하는 것이다.
p.45아마추어는 기분 좋을 때만 훈련한다. 보통 선수는 매일 훈련하지만 지루할 때면 대충 한다. 그러나 뛰어난 선수는 상관없이 훈련한다.
p.46그들은 그 지루함을 지속할 동기를 스스로 찾는다고 한다. 동일한 일을 그대로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목표를 올려 도전함으로써 즐거움을 만든다. 그리고 이 과정을 습관화하여 자동으로 행동하게 만든다고 한다.
p.48가장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길은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그냥 있는 그대로 모습을 드러내어 피드백을 받거나 진단, 도움을 받는 것이다.
p.54돌아가도 좋다. 서툴러도 좋다. 하나를 완성하는 일, 그것이 중요하다
p.58어떤 사람이든 자기가 안고 있는 문제에 가장 큰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들이 어떤 문제와 씨름하는지 생각하고 그에게 도움이 될만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려고 노력하라.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면 나의 문제가 해결된다
p.62어떤 사람은 비범한 일도 평범하게 만드는데, 어떤 사람은 평범한 일도 비범하게 만든다. 일 자체가 평범하거나 비범하다고 여겨서는 안 된다. 일하는 태도가 평범과 비범을 나눈다.
p.68매사 바쁘고 매사 최선을 다하는 삶이 꼭 바람직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매사 최선을 다하지 말라. 최선은 다할 가치가 있는 일에만 다하자!
p.71당신이 고성과자라면? 자신의 차별성을 잃을까 하는 두려움에 자신의 비결을 나누는 것에 인색하다면 당신은 진정한 고성과자가 아니다. 진정한 고성과자는 자신의 비결을 동료들과 공유하면서도 또 다른 자신만의 차별성과 새로운 비결을 창조한다.
p.80'신입'이나 '초보'라는 이름하에 숨을 이유가 없다. 그것은 겸손이 아니다. 프로의 세계에 들어가면 그때부터 프로인 것이고 프로답게 행동해야 한다. 연륜을 존경할 필요는 있지만 오히려 연륜이 부족할 때 더 신선한 시각과 넘치는 에너지로 더 잘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p.85실력이란 콘텐츠에만 있지 않다. 나도 예전에는 이를 인정하기 싫었지만 인간의 인식이란 그런 것이다. 그러므로 보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실력이 비슷하면 보이는 것이 성공의 차이를 결정한다.
p.87운은 갑자기 오기도 하지만 자신이 만들 수도 있다. 그것을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이 있는 공간을 바꾸는 것이라 한다.
p.90너무 '길게' 그것도 '자주' 그리고 '잘' 쓰려 하면 오래가지 못한다.
p.94나이가 어린 사람에게는 꾸준함을 잃지 않고 일단 현재 영역에서 어느 정도 수준까지 도달할 것, 또 하나는 현재의 영역을 하고 싶거나 다른 잘 하는 영역과 융합해 볼 것을 이야기한다.
p.97누구에게나 대체될 수 있는 일은 장기적으로 내부에서의 경쟁력을 발휘하기도 어렵고, 외부 이직도 어렵다. 나만이 할 수 있는 일을 찾고 이에 집중하라.
p.103'노력하는 능력', 하나의 문제에 관심과 에너지를 집중시키고 또 고민하고 고민하고, 겉으로 뚜렷한 발전의 신호가 보이지 않는데도 계속 하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p.106'축적'이 없으면 '발산'이 없고 진보도 미미해진다.
p.109'부담 없는 작은 출발' 그리고 '반복', 이 과정 중의 '피드백'의 '지속적인 반영'이 완벽한 준비 부담으로 아예 출발조차 못하거나 무겁게 출발했다가 부담이 되어 지속하지 못하는 것보다 훨씬 낫다.
p.111'만만해야 한다' 일로 느껴지거나 지치면 백전백패이다.
p.112'시간이 아니라 횟수', 이 전략은 '성장'뿐 아니라 '행복''의 법칙이기도 하다. 어쩌다 한 번 하는 긴 시간의 좋은 경험보다 짧은 여러 번의 경험이 삶을 더 풍요롭게 한다고 하니.
p.132실수도 하고 오판도 한다. 여기서 레슨을 받아 다시 하면 된다. 과거는 바꾸지 못하지만 현재와 미래는 바꿀 수 있다. '이랬어야 하는데'라는 말은 과거다. 과거는 과거다. 이랬어야 하는 걸 지금 행동하면 된다.
p.133불가능한 일이 아니라면 지금 하면 된다. 창피할지라도, 이랬다저랬다 한다고 욕을 먹더라도, 그냥 하면 된다.
p.145겸손의 표현일 수도 있지만, 실패할 경우를 대비하여 변명거리를 미리 만드는 것일 수도 있다.
p.155그러나 '피드백'이 없으면 절대 발전이 없다.
p.1561만 시간의 법칙은 오도된다. 중요한 것은 연습을 어마나 했는가가 아니라 의도적인 연습을 얼마나 했는가이고 세계 최고 수준이 되려면 반복되고 지루한 의도적 훈련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즐거울 수 없다.
p.159처음에는 이해가 안돼도 저항하거나 자기 방식대로 하지 말고 그곳에서 하라는 대로 한다.
p.172Yes를 Yes라, No를 No라 명확히 못하는 사람은 '마음이 여린' 사람이 아니다. '자기중심적인' 사람일 뿐이다.
p.176사람들이 성공하지 못하는 이유는 성공의 법칙을 몰라서이기도 하지만, 배우고 알아도 그것을 완전한 변화의 임계점까지 새로운 법칙을 고수하지 못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새로운 변화에 익숙해지기 전까지가 중요한데, 대개 이 기간 동안 견디지 못해 실패하고 원상태로 돌아간다
p.191"글을 쓰고 싶은데 잘 안돼요",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완벽주의적인 그의 성격 때문이었다. '잘 쓰려' 하고, '길게 쓰려' 하고, '남들을 의식해서'이다. 비결은 '그냥 쓴다' 그리고 '정기적으로 쓴다'이다

댓글


에스더케이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