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9월에 이미 통장쪼개기를 마쳤지만 너나위님의 강의를 들으며 재정비하여 다시 통장 쪼개기 했습니다 :)
4월 결혼식 후에 한번 더 재정 점검하면서 55% 저축으로 최대한 맞췄는데 너나위님이 말씀하신 저축 퍼센트랑 동일해서 뿌듯했어요!!! 60%는.. 아무리 해도 안되더라구요 ㅠㅠㅠ(핑계겠죠 ㅎ)
1단계 : 지출 종류별로 목표 금액 정하기
(신혼부부 맞벌이 2인)
총 급여 : 660만
저축 55% : 360만 저축 → 세팅 완료
지출 45% : 300만 지출 → 세팅 완료
- 생활비 : 식비 50만원 / 생활용품비 10만원 (생활용품비 부족한 달이 있음)
- 활동비 : 남편 20만원, 저 25만원 총 용돈 45만원 / 교통비 약 40만원(30~50 왔다갔다함) / 보험 남편 8만원, 저 9만원 총 17만원 / 통신비 남편 6만원, 저 1만원 총 7만원
- 주거비 : 월세 65만원, 공과금 약 10만원
- 교육비 : 활동비, 주거비 초과비용을 채우기 위해서는 당분간은 교육비 자제…. (남편 상여금 , 예비비에서 빼서 사용 예정)
- 비정기 : 경조사 20만원, 고양이 10만원, 부모님 각 5만원씩 10만원, OTT 4.5만원, 연수기/공청 렌탈 5.4만원
지출 293만원 으로 저축 360만원 (55%) 가능 ♥♥ (가스,전기 10만원으로 수정)

→ 60% 70% 으로 저축 늘려보려고 노력했던 엑셀 시트….. ㅜㅜ
2단계 : 각 항목별 통장 계좌를 정하고 연결한 체크카드 발급하기
- 우리은행 계좌1 : 월급 통장 및 월세,공과금,통신비,보험비,OTT, 렌탈비
- 카카오뱅크 계좌 1 : 식비, 생활용품비 (세이프박스 활용)
- 카카오뱅크 계좌 2 : 경조사, 고양이 비용 (세이프박스 활용)
- 카카오뱅크 계좌 3 : 용돈
- 카카오뱅크 계좌 4 : 저축 , 부모님 용돈 (세이프박스 활용)
- 카카오뱅크 계좌 5 : 월 여분비용, 예비비
3단계 : 체크카드에 용도를 네임펜으로 써주고 인증샷 남기기

통장 쪼개기를 마치며..
1) 통장 쪼개기 하며 느낀 점
- 좀 더 줄여보려고 했던 노력이 헛되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고, 생활비, 활동비 10% 퍼센트로 나눠서 생각하니 더 체감이 잘 되었다.
- 지출 항목별로 카드를 나누니까 월급날만 하루 신경쓰면 지출 통제가 되어 너무 좋다!!!
2) 내가 주의해야 할 지출 항목 한가지
- 요즘 퍼스널 컬러가 다르게 나와서 화장품, 옷을 몇개씩 사고 있는데.. 줄여야겠고, 유화 취미 등 .. 줄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