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도
이시장에서는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다.
앞마당 늘려가는 게 중요하지만, 데드라인을 정해서 아는 한에서 투자한다.
투자금 계산보단, 어떤 단지를 투자할지 알아보는 게 더 빠른 투자가 가능한 방법이다.
<액션플랜>
- 앞마당 넓히며 + 꾸준히 앞마당내 투자후보단지 매물임장
- 1-2주차: 입지분석, 시세분석, 단지임장
- 3-4주차: 매물 리스트업 + 미친듯이 매물임장
2. 단지임장
- 꼭 순서대로 할 것: 가치있는 것 → 저평가 → 투자금고려 → 감당가능한것(잔금 등)
- 가치있는 것은 지역에 따라 범위가 달라진다. (입지에 따라 200세대가 투자범위안에 들어올수도?)
- 단지임장 및 단지분석의 의미? 투자의 범위 정하기 ('어디어디까지 투자해야되겠다')
- 단지임장 방법? 외부 → 내부
- 단지임장 후? 1-100등까지 줄세우는게 아님. 생활권별로 비교하는 거임! → 생활권별 저평가 단지 찾고, 그 단지 매임하고, 그리고 나서 최종선택.
- 단지선호도는 생활권별로, 그 안에서 ‘위치’로 순위를 매긴다.
섹션을 쪼개서 순위를 매기고, 가격을 붙여서 저평가를 찾고 -> 매임 후보 선정하고 -> 생활권별 매임 한 곳들을 나열해서 -> 투자금을 따져서 나에게 최고를 선택
- 선호도 판단할때, 뇌피셜인 것 같아도 일단 해서 → 그 지역의 투자대상 단지 남기기!!!
- 지역간 비교 시 → 급지보다 선호도가 중요하다. (그 지역에서 선호도 높은 곳)
3. 매물임장
- 시세 (저평가, 투자금 ) 확인하고 매물임장 리스트업을 한다. (꼭 단지분석 후 매물임장 전까지 완료!!!!!) => 범위 넓게해야 가치-가격 뒤틀린 단지 찾을수있음.
- 내 편에서 소통하는 사장님. ('알았어 일단 한번 해볼게') > ('나 그 얘기까진 못해')
- 부사님들이랑은 매물 시세 (매매/전세 거래량, 최근거래가격, 협상가능가격)
- 매물임장 후? 기초정보/수리상태/거주조건 반드시 파악
- 물건뽑기 프로세스: 단지내 → 동별 → 지역내 → 앞마당 중 (계속 붙이고 비교하고 반복하여 뽑기)
4. 의사결정
- 1) 가치 대비 싼 저평가 순으로 순위
- 2) 그 중에서 내 조건에 가장 맞는 것 → 같은 가격으로 다른데 한다면? 반드시 생각
- 3) 저환수원리 검토 (모든 조건 통과해야만 투자)
- 가격고정하고 투자금 맞게 소거해 나가기
복습 & 반복
복습이란 하라는 행동을 직접 해보고 직접 느껴보는 것.
성과가 안나더라도 일단 반복한다.
느낀 점
- 서투기, 자실을 하면서 들었던 의문점과 어려웠던 점들에 대한 답을 이번 실준강의에서 얻을 수 있었다. 왜 진정한 복습은 실제로 행동해 보는 것임을 이번에 깨닫게 됐다. 직접 해봐야 진짜 나만의 질문과 성장점을 찾고, 같은 말을 들어도 들리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다.
- 단지분석을 제대로 해야한다는 것을 절절히 느꼈다.. ㅎ 이 전에 단지분석을 제대로 하지 않은 앞마당이 계속 생각났고, 내가 결론을 내기 어려웠던 이유가 단지분석을 하지 않아서라는 것도 느꼈다.
- 임보쓰면서 어려운 점은 교안을 참고하자. 선배들의 글도 좋지만, 강사님들 교안이 우선이다!
당장해야할 것
- 앞마당에서 결론까지 간 애들 파일 만들기 (평형, 가격 고정 → 투자금에 맞게 뽑아내서 비교 )
개선할 것
- 단지분석은 단지임장 끝나면 최대한 빨리, 꼭 끝낸다. (이틀 목표..!!) → 매임 전에 단지 꼭 리스트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