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 만들기 -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재테기 기초반 강의와 제출한 질문들을 바탕으로 모두에게 적용될 수 있는 전반적인 방향성에 대해 강의 형식으로 말씀을 해주신 뒤에 제출한 질문 중 일부를 채택하여 답변을 해 주실 것으로 예상했는데 처음부터 바로 제출한 질문들에 대한 답변을 해주셔서 다소 놀랐다. 그리고 제출된 질문의 대부분을 거의 4시간에 걸쳐 성심성의껏 조언해 주셔서 너무 큰 도움이 되었고 감사했다. 그동안 질문을 제출했어도 질의응답 시간에 채택된 기억이 없는데 제출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듣게 되니까 더 특별한 기억으로 남았다.
<잘힐듯 잡히지 않는 1순위 단지>
자책하는 ‘Pain point’였는데 튜터님의 조언들이 하나하나 큰 도움과 용기가 되었다.
<3개월 이내 투자하는 법>
물론 실전반/월학이 주는 환경적 이점이 있겠지만 튜터님의 방법을 듣고 나니 실전반/월학에 못 가서 투자가 안된다는 것은 핑계일 수 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사업자의 장기 투자 방식>
사실 다른 질문들에 비해서는 부동산 투자와는 다소 연관성이 적은 답변이었는데 오히려 마음에 더 큰 울림이 있었다. ‘사업자는 근로소득자와 달리 사업 소득을 높일 방법을 연구하고 사업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더 투여하여 더 높은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업자는 사업 소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내 집 마련’의 관점에서 진행하고 사업 소득을 늘리는데 집중하는 것도 방법이다.’라고 조언을 해주셨다. 예전에 너나위님께서 ‘사업자’ (특히 고소득 사업자)인 경우는 임장 다니면서 시스템 투자 만드는 것보다 똘똘한 한 채 ‘내집 마련’을 잘하고 임장, 임보 쓸 시간에 사업으로 더 큰 소득을 창출하는데 집중을 하는 것이 수익성 관점에서 더 유리할 수도 있다고 하셨던 말씀도 떠올랐다. 경제적 자유라는 목표 하에 투자 활동 (부동산 투자와 주식 투자)에 집중을 해왔는데 사실 내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사업의 성장과 발전 그리고 그로 인한 성취감을 느끼고 더 나은 (사업)소득 구조를 만드는 것이었다. 그 점을 최근에 망각하고 지내왔는데 자각하는 시간이 되었다.
댓글
조장님~ 다음달 지방 실전반 광클 떨어지면 어쩌나 고민했는데 조장님 글을 통해 답변을 받았습니다.글을 너무 잘쓰셔서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항상 열심히 하시는 조장님 화이팅 입니다!!
루마님 우와 꼼꼼하게 후기 남겨주셔서 저도 읽으면서 도움 많이 되었어요ㅎㅎㅎ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