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2)제 사(4)서 60억 될때까지 갈아끼우조 파랑호랑이]1주차 조모임후기

 

가격/가치/비교

 

     조모임을 통해 나누었던 이야기 중 공통된 의견을 뽑아보았습니다.

 

  • 가격

    -  조원분들 중 절반 이상이 가격에 대한 고민이 있으셨습니다. 

       강의에서 나왔던 것 처럼 가격에 대한 감을 어떻게 잡느냐에 대한 이야기 였습니다.

       현재 A단지의 현재 가격을 보는 것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지만 같은 생활권, 인근 생활권, 다른 지역과의 비교가

      생기면 헷갈리고 가격을 잊어버리는 상황이 발생하였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였다!  

        ‘계속 보기’ 시세트레킹을 습관화하다보면 지역에 대한 가격, 단지에 대한 가격. 심지어 단지의 특성에 따른 가격    까지 기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습관적인 시세트레킹’ 쉽지 않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투자자로써 꼭 해야만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매임

     - 투자를 앞두신 분들이 많아서 그런지 매임에 대한 이야기도 많이 나왔었습니다.

      투자와 연결하기 위해 매임은 필수 입니다. A조원분은 투자가 임박하여 이전 앞마당과 지금의 임장지를 동시에 보 

      고 있었고 B조원분은 몇개 관심지역 앞마당을 지켜보시면 관심단지의 임장을 진행하고 계셨으며, C조원분은 향후 

      목표를 세우시고 이번 임장지부터 열정을 불태우고 계셨습니다. 하지만 그렇지않은 조우원분들에게는 조금은 형식

      적인 강의의 연장? 으로 느껴졌습니다. 저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투자금이 없고 이러저런 핑계로 형식적인 매임으

      로  마무리했던 앞마당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지금하고 있는 행동이 하나하나가 모여 나만의 관심 단지들

      이 내 소중한 장부에 쌓이고 내가 투자할 수 있는 시기를 만났을 때 투자에 핵심이 되는 행동이라고 생각되었습니

      다. 형식적인 강의의 일부분이 아니라 내 보물상자를 채운다는 생각으로 매임에 임해야 합니다.      

 

  •  전고점

    -  조장톡방에서 나왔던 이야기가 마치 짠 것처럼 조모임에서도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월부 경험이 있었던 분들은 과거와 다른 강의 내용에 헷갈린다고 하셨고, 심지어 투자를 앞둔 분들은 투자 기준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고민이셨습니다. 조장방에서 나왔던 의견들을 잘 모아서 조원들께 잘 전달 드렸습니다.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월부 환경에 계속 있다면 전고점에 대한 기준은 강사님들이 지금처럼 정해 주실 것이고 내

   가 할 수 있는건 단지의 가치를 보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전고점 당연히 중요하지만 결국 전고를 회복한 단지가

   투자금이 ㅁ낳이 들더라도 투자할 가치가 있는 단지인지 다른비교단지와 비교했을때 충분히 가치가 있는지 단지 개별    의  가치를 보는 것은 내가 할 몫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댓글


나꿈나user-level-chip
25. 05. 14. 01:18

와~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도 임장 백지도+_+ 굿굿!!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