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자, 가족, 나눔 세가지 길만 걷고있는 삼도(三) 입니다.
이번 강의는 수도권 투자 기준과 경제적 자유를 달성하는 로드맵에 대해서 배울 수 있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자산 규모를 목표로 해야 하는지 배울 수 있었고 현재 시장에서 자산을 쌓아나가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서 배우며 투자의 열정을 불태울 수 있었던 시간 이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 느낀점과 적용할점을 정리하겠습니다.
PART 1. 현재 수도권 시장 진단 & 수도권 투자 기준
이번 파트에서는 최근 계속해서 듣고 있는 내용 중 하나인 전세 물량이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는 점이었습니다. 이 부분을 여러번 들으면서 나는 정말 이 것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가? 라는 물음을 던지게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시장이 열리고 있는데 내 앞마당 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는지 임장지에 대한 집중이 되어 있는지 더 많은 임장지를 가고 싶은 열망이 있는지 돌아보게 되었습니다.
지금까지 현재 수도권에서 매물/전세 물량 감소와 공급 부족을 데이터로만 이해했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번 강의를 통해 이번주에 수도권 앞마당 시세트래킹을 완료하고 투자 가능한 단지 5개를 뽑는 걸 목표로하고 다음 달 임장지역 3개를 미리 뽑아놓고 튜터링데이 때 이 부분에 대해서 질문을 하고 보완할 점을 찾아 봐야겠습니다.
PART 2. 수도권 투자 전략: 가치성장 투자 vs 소액투자 전략
제가 지금 수강생이라면 임장을 많이 다닐 거에요
-강의 내용 中
이번 강의를 통해 수도권 투자 전략은 오를 것 같아서 사는 것이 아니라 가치 있는 자산을 보유해 나가는 관점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기존에는 어떻게든 갭만 맞춰서 지방보다 더 폼나는 수도권 투자를 하고 싶었던 욕망만 가득한 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가치성장 투자이든 소액 투자이든 결국 가치 있는 걸 제대로 보는 시선이 필요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앞마당에서 비교할 수 있는 실력이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최근 수도권 투자를 염두에 두고 있어서 앞마당을 많이 늘리고 싶은 욕심이 있는데요. 선명한 앞마당에 대한 갈망도 있어서 한 달에 2개씩 만들어도 되는지?에 대한 고민 있습니다. 아직 구체적으로 계획을 하지 못했는데요. 선명한 앞마당 vs 앞마당 2개씩 늘리기에 대해서 생각만 하지 말고 각각 실행을 해봐야겠다는 도전을 받게 되었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할지 고민하고 이번 달 복기 글에 남기고 6월에 실천해 보겠습니다.
PART 3. 수도권 투자로 수익을 내기 위한 로드맵
이번 파트가 더욱 재미가 있었던 점은 주우이 멘토님의 실제 투자 사례를 통해 자산을 쌓아나가는 방법에 대해 배운점이었습니다. 2년전 열기 때 해당 투자 방법에 대해서 배웠지만 나는 지금 그대로 행동하고 있는가? 돌아보면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었다는 걸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실전반을 통해 저의 투자로드맵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던 시간이 굉장히 의미가 있었습니다. 앞으로 잃지않는 투자로 1년에 1채 법칙을 지키고, 전세금을 무리하게 받지 않는 선에서 투자 로드맵을 다시 그려보겠습니다.
BM. 5월 17일까지 수도권 앞마당 시세정리한 후 TOP5 물건 찾기
댓글
조장님 투자 가능단지 뽑기 할 수 있다!!! 홧팅입니다!!!!! 정신 없는 일정에 저희 조도 챙기시며 후기까지 고생 많으셨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