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반24기43조후파]1주차 조모임 후기

Q1

<상급지>에서도

선호도가 높은 단지 가격은 상승했지만

선호도가 높지 않은 단지는 거래가 안되거나 보합 상태이다 그러면서

용산구 예를 들어 설명해 주셨습니다.

용산 데시앙포레(22년식,384세대), 1월 13.2억, 4월 13.2억

주변에 다 빌라로 나홀로 아파트 단지이지만 초등학교가 단지앞에 있다

효창공원도 조성되어 있고

중요한 건 서울 모든 아파트가 상승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같은 지역 내에서도 가격 상승률이 다르므로 좋은 지역이라도 포기하지 말고 덜 오를 것 중 예산에 맞는 단지를 찾아 보는게 중요하다

 

Q2

생활권 우선순위

1순위 광장동, 2순위 자양동 인데

학군보다는 위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어서

광장동 맞은편은 송파 및 강동구

자양동 맞은편은 송파구, 광진구 지역은 2급지로

제가 2급지는 성동구 1개 지역 밖에 없었는데 비교평가를 해볼생각입니다.

2급지 중에서 성동구 바로 옆에 붙어 있으며 사람들이 왜 광진구에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한 것 같다.

부동산이란 인문학이란 얘기를 들어 봤을 텐데 요즘 그런 느낌을 많이 받는다

이 사람들은 어디서 흘러와서 여기에 정착하게 되었을까??

주변 인접 지역인 강동구, 성동구, 송파구에서 전입 전출을 하게 되는데 전출비율을 보면 강동구(18%),중량구( 10%),송파구(5%),

(광진구 → 성동구 6%), (성동구 → 광진구 11%)

.교통의 편리성 때문인가?

.학군 때문인가?

 

Q3

 

저의 경우 가치 성장 투자에 더 관심을 가지고 1,2급지 상급지 갈아타기를 준비중입니다.

즉 한번 사면 10년 이상 보유할 물건을 사고 보유할 가치성장투자

하지만 갈아타기를 고민중인 저에게는 2가지 방향의 선택 옵션이 있습니다.

  1. 같은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더 좋은 단지를 1주택으로 하는것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좋은것)**

  2. 기보유 물건과 갈아타기 할 물건의 가치 차이가 압도적이지 않다면 2주택이

    **(복리의 상승)**

※ 투자는 금액이 아니라 안목이다.

 **중요한 건, 지금 가진 돈으로 ‘가장 좋은 단지’를 고를 수 있는 실력이다.**

 

Q4

제가 갈아타기를 하는게 맞는지 확신이 없어서 망설이게 됩니다.

확신이 없으면 차라리 보유하는게 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생각

그래서 지금 내가 가진것으 어떤가치가 있는지 알고, 그 물건과 비교 평가를 통해

세금을 내면서 까지 갈아타기를 하는게 맞는지 알아볼 생각입니다.

양도세+취,득록세 등

그래서 임장을 더 해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확신히 더 또렷해 질 때 까지요~

그래서 전문가 도움 받으려고 투자코칭도 준비중입니다.


댓글


후 파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