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역시!! 양파링님의 강의는 조곤조곤 깔끔하고 명확하게 순서를 집어가며 알려주시는 비교평가 프로세스!! 이번에도 정말 정석 그대로였습니다. “이대로 따라해야 겠다!!’ 그러면 내 머리 속에 어지럽게 뭉쳐져 있는 단지 정보들이 정리가 되겠구나.. 그러면 어떤 것이 더 좋고, 덜 좋은, 단지인지 좀 눈에 보이겠구나.. 2개월 전 서투기에 이어 두번째 듣는 서투기이고, 세번째 앞마당입니다. 강서구, 영등포구, 동작구 이 세 앞마당 안에서 내 투자금 안에 들어오며, 가장 좋은 것은 무엇인지 디테일한 비교평가로 찾아내길 바라봅니다. 감사합니다. 양파링님~^^
[나에게 특히 와 닿았던 점]
서울수도권 투자=내 투자금으로 살 수 있는 가장 ‘좋은 자산’을 사는 것
: 전고점과 리스크 사이에서 합리적인 선을 찾아 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좋은 것을 사는 것이다. 더 좋은 단지를 골라내기 위해 “비교평가 프로세스”를 알고 적용한다. 지역별 위상을 제대로 알고 내가 살 수 있는 물건의 수준을 낮추지 않는다.
비교평가 프로세스
1단계 “가치”
작게 정리: 생활권별/연식별/평형별 가격 감잡기, 지역/단지 레이어를 쌓는 것
입지 좋은 신축 > 입지 덜 좋은 신축 >= 입지 좋은 구축 > 입지 덜 좋은 구축
1-1. 입지가치 “강남/한강에서 얼마나 가까운가?” = 땅의 가치가 핵심 (위치, 접근성)
1-2. 상품가치 : 연식> 세대수> 브랜드, 구조 등
1-3. 선호도: 가치가 비슷하다면 사람들이 더 좋아하는 곳= 해당지역 사람들이 선호하는 입지가치가 모여있는 곳!!
2단계 “가격”
2-1. 저평가 : 현재 시점에 저평가란? 가장 저평가 된 것이 아니라 저평가 된 것 중 가치있는 것, 전고를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좋은 것을 사는 것
저평가 여부를 제대로 판단하려면 ‘가치정리’와 ‘가격정리’를 해야한다.
가치정리: 임장, 임보를 통해 우선순위 정하기
가격정리: 현재가격과 현장가격: 현장시세는 네이버 시세와 다르다.
2-2. 투자금 : 적정한 투자금인가?
매-전 차이 = 투자금으로 살 수 있는 최선의 물건일까?를 생각해본다.
그 지역내 단지들의 매-전 금액으로 적정가격 체크 (아실 활용)
2. 쪼개지 않고 가진 투자금으로 가장 좋은 것을 산다.
3. 투자금은 매수 시 들어가는 부대비용도 꼭 염두해 두어야 한다.
취득세, 중개보수 (매매, 전세) 법무비용 등
3단계 “리스크”
가격과 리스크까지 포함되어야 제대로된 비교평가를 할 수 있다.
3-1. 전세셋팅 : 공급상황 (그 지역 및 주변 영향권 내 지역까지)을 파악한다. 비교평가하는 단지의 전세갯수를 확인한다.
투자하기 위한 비교평가는 가치판단 만이 아니다. 가치, 가격, 리스크까지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나에게 적용해보고 싶은 점]
2025년 안에 내 투자금으로 살 수 있는 더 좋은 투자처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되, 반드시 결과를 만든다. 지금 시장에서 내 투자금으로 가질 수 있는 최선의 물건을 찾는다. 그리고 내 것으로 만들어 보유한다!!
댓글
미호미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