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서울투자기초반 2주차 양파링님 강의!
이번에는 B지역에 대한 내용들과
비교평가를 어떻게 하는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1주차 권유디님의 강의 내용에 이어서
양파링님도 강조하셨던 내용은,
무조건 하락률이 제일 높은 가장 저평가된 단지가 우선이 아니라,
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좋은 것을 사는 것!
하락률은 더 높지만 가치는 더 낮은 단지들은
투자 기회를 더 길게 열어줄 수 있다는 내용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
(1~2년 뒤에도 전세가 올라오면 더 적은 투자금으로도 살 수 있음)
그리고 내가 보고 있던 지역에서 투자할 만한 물건이 없으면,
보통 하급지로 내려가 투자할 물건을 찾게 되는데
그렇게 하지 말고
투자 물건이 없다면 위상이 비슷한 다른 지역으로 가서 투자 물건을 찾아볼 것!
(비슷한 위상의 지역을 찾으려면
평당 매매가와 랜드마크 아파트 가격을 보면 된다!)
또 하나 적용하고 싶은 점은,
각 앞마당별로
입지 좋은 신축 / 입지 덜 좋은 신축 / 입지 좋은 구축 / 입지 덜 좋은 구축
이렇게 4가지로 나누어서 가격별 감 잡고 레이어 쌓아두기!
하나하나의 앞마당의 가격 레이어가 쌓이면
지역 간 비교평가도 수월해질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이번 양파링님 강의 중 가장 인상 깊었던 내용은
바로 단지와 단지를 비교평가하는 프로세스였다
(꼭꼭 기억해두고 임보에 넣어서 적용해볼 것!)
양파링님도 단지 비교평가할 때 사용하신다는
1. 가치
2. 가격
3. 리스크
먼저 가치 판단은
입지가치/상품가치/선호도로
강남과의 물리적 거리는 어느 정도인지, 강남 등 주요 업무지구까지 얼마나 빨리 갈 수 있는지
연식과 세대수와 브랜드
사람들이 더 좋아하는 것
이 3가지를 통해 어떤 단지가 더 좋을지 판단해보는 것이다
그 다음 가격을 입혀서
전고점 대비 얼마나 떨어졌는지,
내 투자금을 들여 살만한 단지인지 판단해본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전세 놓기 유리한 상황인지 등
리스크를 다시 한번 확인 후
최종적으로 더 좋은 단지로 결정!
다른 지역 간 비교평가를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잘 안잡혔었는데
이번 양파링님 강의로 많은 내용을 배울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마지막에 말씀해주셨던
전력투구!
3년 뒤, 5년 뒤 지금을 후회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봐야지
온 힘을 다해서 시세지도 그리러 가야겠다ㅎㅎ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