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래고야 입니다.
2주차 강의 후기 시작 ★
돈독모에서만 뵈었던 용맘님의 강의는 이번이 처음인데요,
귀에 쏙쏙 들어오는 딕션
렛츠고..!
우리가 매달 하는 임장
과연 임보와 연결 짓고
투자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임장을 하고 있나?
의미 있는 임장과 임보 연결 방법
분위기 임장 전
나무위키 등을 통해 나온 결과를 보고
의문을 가지고 임장을 나가고
임장을 통해 해답을 찾아가지 > 생활권정리에 녹이기
단지 임장 시
지역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그 지역을 선택하는 이유를 생각해보기
가격 자체보다는 해당 단지 검증을 해야 하며,
분임 때 남긴 질문과 매칭해보기
그리고 시세지도(그룹핑)을 통해서
어떤 단지를 남길 것인지 생각해보고
유의미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해보는 단계이다
매물 임장 후
임보에 남길 2가지
선호도 있는 단지와 가격
결과를 남기기 위해
단지별 1등 > 선호도 높은 순 > 투자금&전고점하락률
> 매물조건 > 투자여부 결정
순으로 정리해서 임보에 기록한다
임보에 가치와 가격을 기록할 때는
가치의 경우, 위치, 현장느낌, 교통, 수요 등을 기재하고
가격의 경우, 전고점, 매매/전세 가격, 전저점(23년 1월초), 투자금과 결론을 쓴다.
가격 벤치마킹 해야 할 내용은
투자하지 않았을 경우, 복기 하는 것
기존의 가격과 현재 가격을 적고
수익이 높았던 단지들과 수익이 낮았던 단지들의 특징을
기록하며 매달 1번씩 체크한다 (모의투자결과?)
내 판단이 틀렸는지
복기를 통해 다시 한번 체크하고
계속 배움을 쌓아 나가기 ♡
지역내 비교평가 정리하는 법
생활권별 선호 요인을 먼저 나누기
교통/연식/학군 중 어느 것 ?
생활권 안에서는 단지 가치 적어보기
입지(교통,학군)와 상품(연식,특징)
가격 비교하기
현재가격(+수리비)과 과거가격(하락률)
그동안 비교평가를 한다고 했지만
용맘 튜터님의 방법처럼 요목조목 나눠서
제대로 비교한 것이 맞을까?
그래프부터 붙여서 비교해보지 말고
판단을 먼저 해보고 그래프를 붙여보자는 생각을 했습니다.
따라서 이번 임장보고서에는
실제 투자로 이어지지는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단지와 가격을 남기고
추후 트레킹하면서
내가 내린 결론이 결국 어떤 결과를 만드는지를
추적해보는 방식으로 검증해보는 것에 초점을 맞춰서
결론 파트를 작성해볼 생각입니다.
임장과 임보
그리고 투자로 이어지는 결론작성하는 방법을
아주 디테일하게 강의에 담아주신 용맘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
래고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