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경험담

다음 달 임장지 고르는 법 [월부학교 봄날에 전국8도 다 투자할랭 라라예요]

  • 25.05.21

 

안녕하세요. 라라예요.

오늘도 룰루랄라🎵 기운내서 함께 성장할 수 있길 기원합니다❤️

 

 


매월 보름이 지나고 이맘때 쯤 

다들 비슷한 고민 하고 계시지 않나요?

다음 달은 어디가지??

가야 할 곳은 많은데

어디를 먼저 가야할지 몰라

주변 동료들에게 물어보며 다녔던 시절. 

어딜가든 상관없고, 

어차피 다 가게 되어있다는 답변도 들었지만 ><

그래도 먼저 가보면 좋을 곳을 알고 싶었던 그 때!

나의 물고기(O호기)가 있을 확률이 더 높은

임장지 찾는 법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라라 임보

 

이번 달 저의 임보 시세파트 중 한 페이지입니다.

이렇게 한 판에 올려놓고 보면

내 물고기가 어디에 좀 더 많이 있을까

전반적인 시세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저는 매달 (부동산지인 기준) 평당가에 따른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인 투자금을 기준으로

서울 한 판을 그려봅니다.

예를 들어 24평 기준으로 강남구는

매매평당가 8,503만원 X 24평 = 20.4억

전세평당가 3,250만원 X 24평 = 7.8억일 경우

평균 투자금은 12.6억(매매가-전세가)임을 알 수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저는 5억 이상의 투자금은 어렵기 때문에^^;;

5억 이상의 투자금이 드는 지역은 회색으로 통일하고

투자금 5억 이하로 1억 단위로 색을 구분지었습니다.

 

34평과 24평 각각 투자금 별로 지도위에 올려 보았을 때

내가 만약 4억의 투자금이 있다면

30평대 투자로 4급지 강서, 서대문, 동대문을 살펴볼 수 있지만

좀 더 좋은 땅을 우선순위로 하였을 때 

상급지인 영등포, 동작, 중구, 종로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임장지 후보를 좀 더 좁히고 싶다면

투자금과 지역 평균 전세가율을 함께 살펴봅니다.

 

 

저는 서울/수도권 전세가율 평균 60%이상인 지역을 

우선순위로 하였습니다.

추가로

노란색 음영의 4급지 중에

하급지 구로, 중랑, 영통보다 싼 

+ 전세가율이 60% 이상의

구리와 수지구가 눈에 띄네요!

수도권까지 넓혀 보신다면 임장지로

우선 고려해볼 수 있겠지요?! =)

매월 이렇게 정리하다보면

이번 달 시세 분위기가 어떤지, 

시세의 흐름이 어떻게 왔다 갔는지

좀 더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인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거 같습니다. 

투자금 차 실화입니까.. ㅎ


 

다음 달 임장지, 후보를 찾으셨나요? ^^

서울, 수도권을 기준으로 설명드렸지만

지방 광역시와 중소도시에도 적용해볼 수 있어요~

투자와 연결짓는 시세 확인!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잇츠나우
25. 05. 21. 13:55

감사합니다 라라님!

아윌두잇
25. 05. 21. 13:56

오... 다음달 임장지 정할 때 이 방법으로 좀더 뾰족하게 골라보겠습니다>.< 감사해요 ♡

모국어
25. 05. 21. 15:26

덕분에 다음달에 어디갈지 정했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