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정말 오랜만에 월부 정규 강의를 다시 수강하면서, 다시 한번 월부의 체계 속에 들어와 있다는 흥분되기도 하고 걱정되기도 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5시간이 넘는 방랑미쉘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월부를 떠났던 지난 4년의 시간이 다시 한번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온라인이라 다행히 나누어 듣기도 좋았고, 중간중간 메모하면서 천천히 들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제부터라도 몸과 마음을 다잡고, 투자의 세계로 본격적으로 들어가 보려고 합니다.
1. 나의 상황을 다시 한번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1) 자본금과 투자금 : 지금까지 막연하게 열심히 모아서 투자금을 마련해보자, 하고만 생각했었는데
현재 가지고 있는 현금과 매년 모을 수 있는 금액을 구체적으로 계산해보고,
또 목표치를 연간 5천만원 이상으로 상향 조정하여 설정
2) 투자공부에 대한 시간 배분 : 역시 막연하게나마 책읽고 유투브 보는 정도를 공부라고 생각했었는데,
평일/주말을 나누어 일일 공부 가능한 시간을 다시 한번 정리 (최대 30시간)
이를 바탕으로, 수도권과 지방/광역시 중 어디에 투자를 할 수 있는지 현실적인 상황 한번 더 바라보기
→ 실제 살고 있는 수도권 남부를 중심으로만 투자를 생각했었는데,
적은 투자금과 빠른 투자금 회수가 가능한 지방중소도시 및 광역시에 기회가 있다는 점은 처음으로 알게 되었음
특히, 현재 가지고 있는 투자금으로도 지방에서는 바로 투자기회를 찾을 수 있다는 말에 엄청 가슴이 뛰었으나
찬찬히 더 고민해 볼 것! (그리고 무엇보다 더 많은 앞마당을 만들어 두는 것이 중요, 또 중요!)
2. 지방 투자에 대한 공부
전혀 생각해본 적도 없는 지방투자라 강의 듣는 내내 '이런게 가능하다니!' 하는 마음으로 집중해서 들었습니다.
- 지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세가율, 입주물량, 그리고 인구수, (수도권과는 달리) 학군과 환경
→ 잘 알고 있는 지역인 대구와 경산부터 투자의 관점에서 다시 한번 바라보기 (공부, 임장, 투자 시뮬)
→ 성향 탓인지 투자금이 적은 중소도시도 매력적이었지만, 역시나 광역시에서 좀 더 기회를 찾아보고 싶다는 생각
3. 수도권 투자에 대한 공부
기존에 조금씩 매물을 찾아보고 있었으나, 전세가율에 대한 기준, 가격에 대한 기준이 막막했었는데,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그런 부분이 해소가 되었음
- 전세가율은 지방보다는 다소 낮은 60%, 전고점 대비 20~30% 하락한 금액을 기준으로 찾아볼 것
- 지방과 다른 입지의 중요성 : 직장과 교통 (특히 연식보다는 입지)
→ 투자금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역시 심리적으로 조금 더 가까운 수도권에 집중하여 투자해보자는 생각
■ (적용점) 수도권과 지방 투자에 대한 편익과 비용 고민해 보기, 그리고 방향 설정하기
- 나의 성향, 보유한 투자금, 그리고 공부할 수 있는 시간과 나의 체력을 다방면으로 고민해보기
물론 하나의 방향성만을 가지고 갈 것은 아니지만,
일단 시작하는 상황인 만큼, 아직은 수도권 투자에 집중에서 1년에 12개의 앞마당 만들어 보기(임장보고서도 필수)
- 앞마당을 만든다는 것에 대한 막막함이 있는데, 이 부분도 강의와 함께 구체화해보기
- 최소 연 5천만원의 투자금을 모아 수도권 투자의 적기가 왔을 때 주저하지 말고 투자하기
- 강의, 독서, 임장, 투자 : 절대 잊지 말고 노력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