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분석의 반복이 투자로 이어진다.

이번 서울 투자 기초반 강의를 통해 단지 분석을 처음 배운 나는, ‘이거 하면 진짜 투자 잘 할 수 있나? 시장 다 날아 가기전에 그냥 대충 빨리 투자하고 싶은데?’ 하는 마음이 한 번씩 튀어나왔다. 하지만 프메퍼님의 이번 강의 초입에 단지 분석을 반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저평가 되어 있고 수익이 날만한 아파트가 보이게 되고 그때 사면 된다는 말이 지금 내가 가고 있는 방향성에 대한 확신을 주었다. 조급함과 신속함을 가르는 기준은 기준과 원칙이라는 말 또한 나의 무의식의 자아에서 호시탐탐 자리를 노리고 있는 불안감을 누르고 가치 투자를 위한 공부의 시간이 헛된 것이 아닌 성과를 위한 비용이라고 생각하게 했다.

 

단지 분석에서 중요한 것은 3+1

가치/가격/투자금&리스크/선호도를 위한 보조지표3가지

지난번 양파링강의에서도 단지분석을 위해 가치를 먼저 알고, 거기에 가격감을 붙이고 나의 투자금과 리스크를 고려해서 투자를 해야한다고 했었는데 거기에 단지 선호도를 위한 지표 3가지까지 알게되었다.

천장을 확인하기위한 전고, 전저에서의 수익, 상승시작의 시기

단지 분석을 이번주부터 하는데 내 임장지의 단지들에 당장 적용해봐야겠다.

 

내게 맞는 단지를 찾기 위한 '전세'지표 사용

전세가는 실수요를 반영한다.

전세의 꾸준한 우상향/전세가의 매매가 추월/전세가 2배 

이 세가지가 급지나 생활권 내에서의 선호와 가치를 보는 보조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것 역시 이번 주 단지 분석에서 생활권 내의 단지 비교 시 조사해봐야겠다.

 

이번강의에서 B/C지역의 개요,입지,시세를 알아봤는데 B는 내가 평소에도 관심있던 지역이라

추후 앞마당을 만들 때 강의에서 나왔던 내용을 복기 하면서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향후 가치성장투자의 방향

이 강의 이후 내가 해야할 일을 알려주셨다.

먼저 나의 투자금을 파악하고, 내가 관심있는 단지의 목표가격범위과 투자금을 확인해야한다. 이번 서투기 강의 이후 내가 작성한 임보내에서 관심있는 단지을 골라서 가격을 확인해야겠다.

다음으로는 시세트레킹. 시시트레킹의 구체적인 방법을 몰랐는데 이후 관심단지들을 이장표를 이용해 트레킹해야겠다.

이후에는 전세물량을 확인해서, 전세물량이 줄어들고 하락이 멈추는 시점을 알아내고 이 때 투자를 해야한다.

하지만 그전에 그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최선의 단지인지를 비교분석하여 최선의 단지로 파악되면 바로 투자고고!

 


댓글


행복한자산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