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투자 기초반 25기 31조 아사부] Home의 관점으로 단지를 분석하자!

서울투자 기초반 - 더 늦기전에! 1억으로 서울∙경기 투자하는 법

10년 이상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상급지가 좋지만, 전고점이 넘지 않은 저평가 단지를 중장기(5년) 보유하고 나온 돈으로 상급지 갈아타기 하거나 추가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인> 상급지만 좋은 것이 아니라, 상급지가 아닌 단지도 나름의 장점이 있다는 것을 보고, ‘상급지가 무조건 좋다’ 같은 단순한 생각에서 벗어나서 바라보시는 관점이 인상 깊었다.

<적> 앞으로 투자 대상 단지를 볼 때, 급지에 따른 편견을 갖지 않고, 단지 자체가 가지는 장단점을 보도록 노력해야겠다. 그리고, 투자를 해나가면서 어떠한 것이든 단순하게 일반화 하는 실수를 하지 말아야겠다.

 

PART 1

떨어질 것 같아서 기다린 사람은 실패, 투자로 행동한 사람은 성공

<인> 1억으로 할 수 있었던 단지가 날아가 버리니, 같은 투자금으로 그 다음 순위의 단지를 하기엔 아쉬워서 결국 행동하지 못한 시뮬레이션이, 일반적인 사람의 심리로 인한 결과인 것 같고, 따라서 나에게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을 것 같아 인상 깊었다.

<적> 내가 바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가 날아갔을 때에도, 같은 투자금으로 차순위 아파트를 하는게 아쉽다는 생각으로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는게 최악의 상황임을 기억하고, 당시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투자를 해야겠다. 그러려면 바로 행동할 수 있도록 우선 순위를 잘 파악해놔야 할 것 같다.

 

PART 2

집은 단순한 투자재가 아니라 거주의 공간이다.

House가 아닌 Home의 관점으로 그 당시로 돌아가 내 감정을 넣어 많은 단지를 보고 분석해보면 투자의 확신을 얻을 수 있다

<인> 여러가지 보조지표를 알려주셨는데, 결국 중요한건 사람들이 어떤 단지를 좋아하는지 선호도를 아는 것이기에, 계속 전세 수요가 오르는지에 집중하면 된다는게 인상 깊었다.

<적> 알려주신 보조지표들을 적용해보되, 그 보조지표들이 의미하는 바를 생각하며 임보를 작성해야겠다.

 

PART 3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유가, 내가 투자하는 단지 선호도에 반영 되어 있는지에 따라 더 가치 있는지 아닌지 정해진다

<인> 지역부터 단지까지 분석하시는 것을 보면서, 봐야될 것들이 지역별, 단지별로 조금씩 다른 것 같기도 하고 그 양도 너무 많아서 어렵고 버겁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유가 단지에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가는 과정임을 생각해보니 어느정도 정리가 된 것 같다. 복습하면서 다시 보니 더 인상 깊었다.

<적> 사람들이 좋아하는 이유가 내가 투자하는 단지에도 있는지에 중심을 두고 봐야될 것들을 봐나가야겠다.

 

PART 4

인풋=아웃풋

모든 것은 선불

인풋에 대한 결과가 당장 보이지 않더라도 모든 것은 선불이라는 점을 알고, 뚜벅뚜벅 걸어가야겠다.



댓글


프메퍼user-level-chip
25. 05. 23. 15:54

아사부님 정성스러운 멋진 후기 감사합니다 :) 꼭 서울 안에서 좋은 투자도 이어나가시길 응원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