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세대는 되어야 환금성에 문제 없을까요???
강의에서 배우기로는 기본적으로 300세대 이상, 입지가 더 좋은 곳은 200세대까지도 봐도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임보를 쓰다보니, 300세대여도 그중 특정 면적의 세대수는 적어서 환금성 측면에서 괜찮을지 걱정되더라구요. 그리고, 300세대여도 현장 가보면 사실상 4,5단지가 합쳐져서 300세대로 되어 있는 곳도 있어서, 이런 곳은 각각의 단지로 봐
단지 비교할 때 전고점만 보면 안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강의를 통해 제가 이해한 바로는, A단지 B단지를 비교할 때, 먼저 입지요소에 따라 배운대로 비교해보고, 그 다음에 아실 그래프로 붙여봐서 정답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단지 비교를 해야한다고 이해했는데요(잘 이해한 건지 모르겠습니다. 틀렸다면 알려주세요ㅠ), 단지 대 단지 비교를 하다보니, 어차피 전고점이 높은 단지가 더 가치있는 단지라면 전고점만 보면 되는
[서울투자 기초반 25기 31조 아사부] 행복한 투자자로 성장하자!
Part 1 ‘여기서 최고 좋은 물건을 사겠다’라고 한다면 인근에 있는 부동산이 몇군데가 있든 상관 없이 무조건 다 봐라 <인> 매임 경험이 별로 없어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지, 적극적으로 해야하는 걸 알면서도, 행동은 그렇지 못했던 것 같은데, 매임의 목적을 정확하게 짚어주셔서 매임에 대한 나의 태도를 다시 정비할 수 있었다. <적> 이번 수지구 매임 때
[서울투자 기초반 25기 31조 아사부] Home의 관점으로 단지를 분석하자!
10년 이상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상급지가 좋지만, 전고점이 넘지 않은 저평가 단지를 중장기(5년) 보유하고 나온 돈으로 상급지 갈아타기 하거나 추가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인> 상급지만 좋은 것이 아니라, 상급지가 아닌 단지도 나름의 장점이 있다는 것을 보고, ‘상급지가 무조건 좋다’ 같은 단순한 생각에서 벗어나서 바라보시는 관점이 인상 깊었다. <적>
[서울투자 기초반 25기 31조 아사부] 가격 레이어를 쌓자!
이 시장에서 서울만 알거나 경기도만 아는 것은 반쪽만 알고 투자하는 것이다 <인> 같은 투자금으로 서울에 투자하는 것 보다 경기도에 투자한다면 좀 더 연식이 좋은 단지를 할 수 있을 거고, 그렇다면 현금흐름과 관리 용이성 측면에서 유리하겠다는 생각이 들어 경기도에만 앞마당을 만들어 비교하려고 했었는데, 그런 생각을 완전히 깨주셨다. <적> 다음 임장지 정할
[서울투자 기초반 25기 31조 아사부] 열심히와 행복은 공존할 수 있다!
지역을 퉁쳐서 생각하지 말고, 단지별로 생각해라 OO구는 이미 다 올랐어 라는 식으로 몇몇 단지만 보고 그 지역을 퉁쳐서 생각한 적이 있었는데, 이렇게 하면 기회를 놓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행이 초보라서 아는 지역이 많지 않아 놓친 기회라고 할 것은 없지만, 첫 앞마당을 만드는 지금부터 명심하고 행동해야겠다. 서울&경기도 지역 특징 분석을 보며
[실전준비반 68기 16조 아사부] 지혜롭게 벽을 깨부시자
투자결정이 안 된다면 단지분석 다시 해봐야 한다. 매물임장 아무리 해봐야 소용없다. 투자결정 뿐만 아니라 투자를 해나가면서 막히는 부분이 분명 생길텐데, 그럴 때마다 혼자라면 왜 막히는지 원인조차 몰라 헤매면서 내 목표지점까지 돌아가게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가고자 하는 길을 먼저 가본 사람들이 많은 월부 환경 안에 있는 것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느낄

[실전준비반 68기 16조 아사부] 아령이 너무 무겁지만, just do it !
임장보고서 쓸 당시에는 투자 기회가 없더라도 시장이 변하면서 기회가 올 수도 있다. 그때는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만이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임장보고서를 쓰면서 내 투자금 안에 들어오는 곳만 하면 되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시장 상황에 따라 내 투자금 안에 들어올 수 있는 곳까지 범위를 넓혀야겠다. 임장보고서 많이 쓰다보면 최고의 선택을 하고 싶어서 투자하지

[실전준비반 68기 16조 아사부] again 신입사원, 회사 업무처럼 잘하게 될 때까지 꾸준히
회사 업무는 꾸준히 하니까 잘 하게 되는거다. 투자도 회사 업무처럼 꾸준히 하면 잘 하게 된다. 투자는 회사 업무와 달리 강제성이 없어서 꾸준히 하기 어렵고, 그래서 잘하게 되기 어려운 것 같음.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게, 부자가 되기 위해 하는 게 아니라 노후준비를 위해 꼭 해야하는 것임을 생각하여 꾸준히 해나가야겠음. 임장할 때 핸드폰은 최소한으로 보고

[실전준비반 68기 16조 아사부] '과한 취미'가 생겼다!
위치가 가깝고 좋은 지하철 이용할 수 있는데, ‘언덕이에요…구축이에요’라고 말하는 건, 우선순위를 잘못 보고 있는 것이다. ▶ 서울 지도에서 이런 저런 아파트를 검색해보면서, 입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배웠음에도 한번씩 위와 같은 생각이 드는 것을 보니, 배운 것을 행동으로 옮기지 못한 것 같음. 언덕, 구축인 지역을 볼 때 의식적으로 더 입지 우선순위를 생각

[열반스쿨 기초반 85기] 4주차 과제_'독강임투인'으로 노후준비 끝
1. 열반스쿨 기초반 강의를 신청하게 된 이유 (계기 or 강의에서 배우고 싶었던 것) - 부동산 투자에 대해 전혀 모를 때 청약 당첨되어 입주한 아파트에 살고 있는데, 연고 없는 지역이기에 실거주 의무 기간 끝나면 이 아파트를 팔고 이사를 가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 그런데, 이 아파트를 파는게 맞는지, 판다면 언제 얼마에 파는게 맞는지, 그 다음
3주차 강의 후기_ 투자랑 일상생활이랑 병행하면서 행복을 찾자!
<PART 1> ▶ 신촌럭키와 금호두산 비교해주시면서, 신촌럭키를 샀어도 좋은 투자인데, 금호두산을 비교할 수 있었으면 더 좋은 투자이고, 이게 실력이라고 하심. 실력이 높아진다는게 어떤 것인지 더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었고, 앞으로 실력을 올리기 위해 무얼해야 하는지도 선명해짐. 분위기 임장까지만 해봤는데 단지 임장, 매물 임장까지도 얼른 배워서 배운대로
호계동 무궁화효성한양 아파트 수익률 분석 보고서 [열반스쿨 기초반 85기 31조 꿀단지아파트]
✅아파트명 호계동 무궁화효성한양 ✅위치(지도) ✅입지평가 1. 직장 등급 종사자수 사업체수 안양시 전체 (동안구+만안구) A 272,065 63,452 안양시 동안구 B 181,783 40,016 2. 교통 ▷ 강남 44분 / 여의도 50분 / 시청 62분 3.학군 ▷ 초등학교 안양신기초 (도보 3분 / 대로 횡단 없음) ▷ 중학교 대안여중 - 9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