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무조건 서울이 경기도보다 더 좋은게 아니라 경기도/서울 비교평가를 할 줄 알수록 더 좋은걸 골라낼 수 있고, 더 좋은 투자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서울4급지(성북/관악 등)보고 있었는데 그 다음 선택지로 평촌,수지등 경기도 4급지를 택했던게 현명한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2. 입지 덜좋은 신축/ 입지 좋은 신축/ 입지 덜좋은 구축/입지 좋은 구축 중에 어떤 것을 택해야할지 기준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3. 생활권별/ 연식별/ 평형별 가격감을 잡아서 ‘레이어를 쌓아라’는 말이 인상 깊었습니다. 막연히 경기도/서울을 구단위로 보고 있었는데 레이러를 쌓아서 비슷한 레벨의 여러 지역들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보니 투자할 수 있는 지역과 선택지가 넓어지고 비교평가가 수월해졌습니다 지금까지 앞마당인 성북, 관악도 시세를 정리해서 레이러를 쌓아보려고 합니다
  4. 지난 서투기때 공부했던 성북구를 복습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길음, 보문, 장위, 돈암/종암/삼선 등 생활권별로 다시 가격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성북구를 수지/평촌과 함께 비교해서 가격감을 잡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5. 가장 좋았던 것은 서울&경기 비교평가 프로세스(가치-입지가치,상품가치, 선호도, 가격,리스크)를 알 수 있어서 좋았고 전고점 대비 하락률이 큰게 좋은거라는 생각이 강하게 박혀있었는데, 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가치있고 좋은걸 봐야한다는 기준(전고점을 넘지 않은 단지 중 가장 좋은 것을 사야한다)을 다시 잡을 수 있어서 좋았고 서울/경기 아파트별로 비교평가 예시로 비교 방법을 알 수 있어서 좋았고 실제 투자에 적용해볼 수 있어서 너무 인상깊었습니다.

댓글


윤슬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