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돈을 지키고 싶은 당신이 현실적으로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정보 Tip

23.12.13

당장 알 수 없지만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입니다.

부모님의 재산, 조금이라도 더 보존하고 싶은 모든 자녀분들께

오늘 김철종 세무사님의 조언이 큰 도움이 되실 거예요.


여러분께 이런 일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부모님이 돌아가시고 정신없이 장례 치른 후,

속상한 마음 다 아물지 않은 채로

갑작스레 세금을 수억 원 내게 되는 일.


마음 추스를 새 없이 눈앞에 닥친

현실이 버겁게 느껴지는 일.



이 글을 끝까지 읽으면 이런 것들을 알게 돼요.


✅ 부모님 장례 치른 후, 자녀가 바로 해야 하는 일

✅ 부모님 재산, 최대한 세금 안 떼이고 나눠 받는 방법

✅ 부모님이 돌아가시기 전에 이걸 미리 준비해야 하는 이유는?




Q. 부모님과 갑작스러운 이별을 하게 됐습니다.

장례식도 정신 없이 치뤘고요. 그다음엔 뭘 해야 할까요.


✍️한 줄 요약 : 사망 진단서 발급 후 사망 신고와 6개월 이내 상속세 신고를 챙겨주세요.


일단은 마음을 추스리시고 현실로 돌아와서

또 준비를 하셔야 하는데요.


가장 먼저 돌아가시게 되면 병원에서

사망 진단서를 발급을 해 주실 겁니다.


이걸로 동사무소에 가셔서 사망신고를 해주셔야 해요.


더불어 사망 진단서에는 돌아가신 날과

돌아가신 시각 이런 것들이 다 나오게 될 텐데요.


우리 세법상으로는 이제 그날이 ‘상속 개시일’이 됩니다.


그래서 그날을 기준으로 해서

그 상속 개시일이 속한 달의 말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상속세 신고를 꼭 하셔야 합니다.





Q. 곧 형제들끼리 상속 얘기가 나올 것 같아요. 그런데 유언장도 따로 없으시고, 저희 모두 부모님 재산이 얼마 있는지도 모릅니다.


✍️한 줄 요약 : 재산은 ‘안심상속원스톱서비스’에서 확인하기, 상속세는 유산 10억 이상부터.


대부분의 분들이 다들 잘 모르실 거예요.

그래서 국가에서도 그런 부분을 고려해서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사무소에 사망 신고하실 때에 함께 신청해도 되고

정부 24에 접속해서 신청해도 가능하십니다.



상속세는 기본적으로 공제되는 금액이 꽤 있어요.


일괄 공제로 최소 5억 원이 가능하고,

만약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면

총 10억을 공제받을 수 있어요.


그러니까 상속세는 10억이 넘어가는 순간부터

발생한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지금 만약에 10억의 자산이 없다고

해도 혹시 모를 일입니다.


부모님께서 가지고 계신 집 한 채가

실제 상속 시점이 됐을 때

어떻게 되어 있을지 알 수 없으니까요.


그러니까 일단 5억 이내로 확실하게 있다면

미리 대비하고 있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Q. 부모님 집이 아마 10억은 넘어가는 것 같은데, 이 집은 그럼 어떻게 나눠야 하는 걸까요?


✍️한 줄 요약 : 부동산 감정 평가를 이용해 추후에 팔 때 절세 전략까지 짜거나, 그냥 상속받거나. 전략은 세무사와 함께 짜는 것을 추천해요.


부동산은 내가 오늘 상속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후에 팔 수도 있잖아요.

그 팔 것까지 해서 플랜을 짜는 게 좋습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상속받는 건물이

시세 12억,기준 시가 9억 원이다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저라면 ‘감정 평가’라는 걸 활용할 것 같아요.




1) 첫 번째 전략


12억짜리 건물을 한 11억의 감정을 받아서

> 상속세 10억 공제받고

> 나머지 1억에 대한 상속세 세금만 낸다

> 이후 매도 시에는 12억으로 똑같이 팔고

> 양도세는 감정가액을 뺀 1억 원에 대한 것만 낸다.



 2) 두 번째 전략


기준 시가 9억으로 신고한다

> 12억에 판다

> 3억에 대한 양도세를 낸다


전략에 따라서 세금 차이가 수천만 원씩 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내가 집을 받고 처분할 때까지 감안한 플랜이

짜여져야 한다 생각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이걸 미리 알았다면 허둥대지 않았을 것 같아요.



✍️한 줄 요약 : 상속세는 절세가 어려우니 이전부터 세무사와 전략을 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네 맞아요. 사실 상속세는 절세가 어려워요.


왜냐면 계산할 때 딱 상속 재산 가액이

거의 정해져 버리거든요.


그래서 사전에 준비하는 게 필요해요.


완전한 부자들 말고 어느 정도 있는 분들은

보면 거의 부동산이 많으신데요.


이런 분들께서 준비 없이 돌아가시게 되면

자식들은 상속세를 내야 할 텐데

그때 한 20억 30억 되는 상속세 계산하면

그게 수억 원이에요.


집을 두 채 받는데 세금이 뭐 4억 5억

그러면 이거 낼 방법이 없는 거죠.


우리가 막연하게 놓고 볼 일이 아니라

진짜 전략적으로 접근을 할 필요가 있는 겁니다.

왜냐면 내가 어느 경우에 해당이 될지 모르니까요.





To. 눈앞에 닥친 현실이 막막한 분들께,


세금, 너무나 일상적이라서 그런지

중요하다는 걸 종종 놓치곤 합니다.


특히 부모님이 돌아가신 이후,

마음이 많이 속상한 와중에

세금 고민이 생긴다면

그 순간이 참으로 버거우실 겁니다.


그때 검색으로 절세 방법을 찾기에는

개인별로 처한 상황이 달라

더욱 헷갈리실 수도 있고요.


혹시 발생할 세금에 대한 고민이라도 덜어드리고자

이번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저의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께

정말 의미 있는 시간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래 링크 누르고 세무사님께 질문하기

🌟https://link.weolbu.com/41hBIG7



댓글


구세주creator badge
24. 01. 01. 20:51

상속세가 절세가 참 어렵습니다.. 미리 대응한다는 것도 참 좋은 방법이네요.

별빛천사
24. 01. 02. 06:17

직접 당해본 1인으로서 미리 준비 해야 하는 중요성을 실감했습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가족간에 합의도 미리해서 절세 방법을 공부해야합니다. 유교적 선택으로 절세 기회를 놓치는 안타까운 상황이 생길수있습니다 세무사님도 좋은분을 잘 만나야 합니다 자세한 상황을 알려야 제대로 상담 받을 줄 알고 집안 얘기를 좀 했더니 뻔히 그런 의도가 아닌데 이것도 걸리고 저것도 걸린다며 협박식으로 돈 뜯어갈 궁리만 하더군요. 대책을 논의하러 갔는데 말이죠 착하게 살면 손해보고 당하는 이상한 세상!!

슬기로운서초댁
24. 01. 02. 13:01

이 글을 보기전에는 생각도 못했던 내용인데 미리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주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