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서울투자 기초반 1강은 자음과모음 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강의에서는 서울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 , 25개 자치
구의 특징 및 투자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가장 처음 느낀 점은 서울은 지방과 다르다는 점입니다. 서울은 자치구
수가 우리나라 최대인 것도 있지만 1~5급지 5개 등급으로 나눌 정도로 세분화 된 곳도 없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하게 가격이 형성되어 있는 곳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특히 5급지의 경우 지방 광역시와 비교해도 크게 차
이가 나지 않는다는 것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비록 서울 내에서는 가장 비선호지역이더라도 서울은 서울이다라는
것도 다시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지방 임장지를 갔을 때는 중소도시 같은 경우에는 빈 땅도 많이 있지만 서울은
뉴타운이라는 재개발지역이 그렇게 많다는 것도 이번에 배웠습니다. 그동안은 강남3구가 좋다는 정도만 알았지만
입지가 환경,학군,직장,공급 그리고 교통,커뮤니티,한강까지 따져도 이정도로 다른 곳이구나 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던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2.깨달은 점
서울투자 기초반 첫 강의를 들으면서 깨달은 점은 서울도 잘 찾아보면 광역시 정도의 갭도 있구나라는 점입니다.
첫 앞마당을 용인시 수지구로 하고 나서 투자금이 생각보다 많이 들어간다는 것을 깨닫고 지방소액투자자가 되겠다
마음을 먹고 지방 앞마당을 3개 만들었습니다. 이후 문득 우리나라 전체에서 기준이 된다는 서울도 봐야겠다는 생
각이 들어서 이번 서기를 들었는데 같은 점보다 다른 점이 더 많다는 점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서울도 비선호 급지 구축은 투자금이 생각보다 많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도 놀랐습니다. 그동안은 당연히 땅의 가
치는 서울 > 수도권 > 광역시 > 중소도시라고 배웠고 가격도 그렇게 보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강의에서 몇몇 단
지들을 예로 들며 설명을 들었을 때 그 생각을 다시 하게 되었습니다. 예시에 나온 단지의 갭이면 광역시에서 중상
급지랑 크게 차이가 나지 않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입니다.
거기다가 가치성장투자 , 소액투자에 대한 설명도 정말 와닿는 게 많아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실거주
목적으로 사 놓은 0호기가 있습니다. 그에 대한 고민이 있던 와중 이번 강의에서 주택 1채를 보유한 자는 투자를 어
떻게 해야 되는지 듣고 현 상황을 파악한 다음 앞으로 어떻게 투자를 해야 되는지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3.적용할 점
이번 서기를 통하여 가장 기준이 되는 서울에 대하여 알아가도록 하겠습니다. 시작은 지방 소액 투자자로 하더라도
서울을 알아야 지방도 보일 거라 믿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3주 동안 지금 맡은 임장지에 대해 임장보고서를
끝까지 가보도록 노력하겠습니다. 5번째 앞마당도 여태 해왔던 것처럼 꾸준하게 기한 내에 완성 하도록 하겠습니
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