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이번에 월부 강의를 처음으로 듣게 되었는데, 망설인 시간이 아까울 만큼 유익한 내용들이 많았습니다.
“저평가된 아파트를 사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그 가치를 어떻게 파악하는 지 감을 못 잡았는데, 이번에 저환수원리라는 원리를 통한 합리적인 투자방식에 대해 알게 되어서 기뻤습니다.
특히, 다양한 예시를 통해 실전적용하는 연습을 간접적으로 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저도 서울 2급지의 임의의 아파트로 저환수원리를 적용하는 연습을 해보았습니다.
연식 | 세대수 | 평형 | 구조 | 매매가 | 전세가 | 투자금 | 전세가율 | 전고점 | 전저점 | 최대 하락율 | 상승률 | 하락률 |
2001 | 582 | 24 | 계 3/2 | 121,000 | 59,350 | 61,650 | 49% | 123,000 | 90,000 | -27% | 34% | -2% |
저평가: 2급지임에도 매매가 12억대. 역세권이 아님을 감안해도 가격은 매력적이어 보인다. 게리롱님이 공유해주신 ‘서울 동별 전고점 평당가’를 봐도 전고점 대비 무려 6억이 싸다!;;
하지만 알고 있는 아파트 단지가 많지 않아서 같은 가격에 다른 더 좋은 입지의 물건이 있는 지는 잘 모르겠다.
무작위 매매가/전세가 수집이 필요해 보인다.
환금성: 25년식, 24평형, 1군 브랜드 아파트, 200세대 이상이므로 환금성 좋아보인다.
수익성: 투자금 6억!;; 너무 많이 드는 것 같다
수요가 풍부하고 가치 있을까? - 잘 모르겠다. 이 역시 비교군이 부족해서 내가 판단을 잘 못 하는 걸수도…
지금 저점 대비 3억이나 올랐기 때문에 싼 가격이 아니라서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원금보존: 전세가율이 너무 낮음. 인근에 1000세대 신축 아파트 입주 예정. 탈락!
리스크: 과도한 대출을 일으켜야 할 텐데 이건 너무나 큰 리스크이다. 탈락!
=> 결론: 투자X
저환수원리 적용 연습을 하는 데에도, 각 원리의 적용 방법이 제대로 기억나지 않아서 정리 노트를 다시 펼쳐들고, 하나하나 차근차근 따져봐야 해서 시간이 오래 걸렸습니다. 게리롱님은 지금은 매물 하나를 봤을 때 저환수원리가 머릿속에서 빠르게 계산되어 의사결정을 빠르게 내릴 수 있다고 하셨는데 저도 나중에는 게리롱님처럼 능숙하게 아파트를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 되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더 많은 아파트의 가치를 비교 저울질 할 수 있게 되고 조금이라도 더 나은 선택을 할 확률이 높아질 테니까요.
지금은 비록 단어들도 익숙하지 않고 값 하나 찾는 데에도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모든 것이 그렇듯 하다 보면 익숙해지는 시기가 오겠지요.
경제적인 성장을 위해서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을 알려준 게리롱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
프렝땅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