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 비즈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5. 6. 10. ~ 13.
4. 총점 (10점 만점): 10/ 10점
1. 모든일이 다 중요하다
- 의사결정 공식이 없으니 언제나 익숙하고 편안한 방식을 찾게된다
- 그냥 바쁘다고 성공에 가까워지는게 아니다
-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장 중요한 일을 중심으로 하루를 조직하라
- 파레토 원칙을 통해 중요한 소수 중에서 중요한 소수를 남긴다
2.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 멀티태스킹은 본능이며 짜릿하다 / 그래서 계속 다른 일을 찾게된다
- 하지만 멀티태스킹을 할수록 집중력이 떨어지며 실수를 하고 결과는 나빠진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가 아닌 습관과 통제력에서 나온다
- 올바른 습관을 정하고 그것을 확립하는데 시간을 할애하고 발달시키기위해 통제하라
4,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 의지력은 배터리처럼 한정되어 있다
- 음식을 잘 먹어야 의지력을 회복할 수 있다
- 의지력이 떨어지기 전에 가장 중요한일을 일찍 해치워라
5. 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 균형적인 삶이란건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일도 제대로 하는것이 하나도 없는 상태이다
- 균형적인 삶이 아닌 균형잡기를 해라
- 균형잡기는 일과 개인 둘다에서 해야한다
- 일은 중요한 일에 극단적일 정도로 시간을 투자하고 나머지는 대충하자
- 개인은 난 내 삶이 있다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관심을 갖자
6.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 크게 생각한다는 건 가능성의 제한을 두지 말라는 의미이다
- 큰일을 두려워 하면 계속 피하고 도망가려 한다
- 크게 생각하고 크게 살아야만 자신의 삶과 일에서 진짜 잠재력을 경험할 수 있다
7. 미래의 크기를 바꾸는 초점탐색 질문
- 어떤 일을 할때는 나 스스로 올바른 질문을 하고 답을 구해야 한다
- 그 질문을 하는데 있어 중요한건 '지금 당장 해야할 단 하나' 초점 탐색질문을 하는 것이다
8. 도미노를 세워라
- 초점 탐색질문 하나면 하루가 심플해진다(나머지 일들이 쉽거나 불필요해짐)
9. 삶의 해답으로 가는길
- 크고 구체적인 질문을 생각하고 답을 해야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수 있다
10. 위대한 결과
- 생산성을 높이려면 명확한 목적의식과 우선순위가 바탕이 되야 한다
11. 목적의식을 가지고 살아라
- 목적의식: 어디로 가는지 + 중요한것은 무엇인지의 대상
- 우선순위: 그 대상을 위해 취하는 행동
- 행복은 목적의식을 갖고 매일 하는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
12. 우선순위에 따라 살아라
- 먼 미래의 보상은 즉각적인 동기가 떨어진다
- 미래가 아닌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할지 목표를 설정하자
- 목표를 설정했다면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단 하나의 일만 남기자
- 펜을 들어 그 목표를 적고 가까이에 두자
13. 생산성을 위해 살아라
- 단 하나의 일을 위한 시간을 미리 확보하고 철저히 지키자
- 휴식시간을 미리 정해고 빼놔야 행복한 마음으로 성공을 유지할 수 있다
- 매주 한시간을 딸 떼어 연간 월간 목표를 검토해라
14. 단 하나를 위한 세가지 약속
- 무언가의 경지에 이르는 길은 그냥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니다
-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알맞은 방법으로 노력해야 한다
- 사람들이 안주하는 지점 'ok고원' 을 돌파하라
- 성과를 극대화 할수 있는 코치를 찾아라
15. 생산성을 훔쳐가는 네종류의 도둑들
- 단 하나에 집중하다보면 반드시 다른일들을 제대로 마무리 하지 못한다
- 이를 받아들이고 익숙해지자
- 도저히 할 수 없어. 나의 한계는 여기까지야 라고 제약하지 말자
- 당신의 목표를 지지해줄 사람을 찾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멀리하라
- 정신이 팔릴 만한 곳에 스스로를 놔두지 마라
16. 위대함으로 가는 변화의 시작
- 더 큰 삶을 상상할때만 큰 삻을 가질 수 있는 희망이 생긴다
- 죽을때 후회하는말: 나 자신에게 솔직한 나만을 위한 삶을 살 용기가 부족했다
멀티태스킹은 인간의 생존 본능이기에 집중력이 흐트러지는게 당연하다는 점
성공은 올바른 습관과 통제력 2가지가 필요하다는 점
원하는 일을 극도로 몰두하되 개인의 삶도 최소한으로 챙겨야 한다는 점
크게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가능성의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라는 점
먼 미래의 보상은 즉각적이 동기가 떨어지므로 현실에 기반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는점
죽을때 후회하지 않으려면 솔직한 나만의 삶을 살 용기가 필요하다는 점
그냥 바쁘게 살지 않기
멀티태스킹하지 않기
성공하면 습관, 통제력 2가지 떠올리기
나만의 삶을 살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플랜 세우기
성과를 위해선 항상 환경에 나를 맡기고 좋은 코치를 찾기
하나에 집중하면 나머지는 제대로 되기 어려움을 받아들이기
최종목표를 위해 지금 당장해야 할 단 하나는 무엇인가?
댓글
토레스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