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아주 작은 반복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로버트 마우어 / 스몰빅미디어
3. 읽은 날짜: 6.14일
4. 총점 (10점 만점): 8점
P 20
이런 혁신을 대체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다. 삶을 변화시키는 전혀 다른 전략이다. 아주 부드럽게 언덕을 올라가는 방법으로 언제 정상에 올랐는지 눈치 채지도 못한다. 협상하기에도 유리하고 발걸음도 가볍다. 필요한 것은 단지 앞을 향해 그저 한 걸음 한 걸은 내딛는 것밖엔 없다.
“ 천리길을 걷는 것도 반드시 한 걸음을 떼는 것에서 시작한다. ”- 노자
→ 나는 행동파다. 해야 하는 일이 있다면 일단 시작한다. 내가 행동이 빠른 이유는 그냥 일단 해보는 것이다. 완벽하게 하려고 하지 말고, 일단 대충해보는 것이다. 그러면서 디테일을 잡아 가면 된다. 단지 앞을 향해 한 걸음 내딛는 것.
P 113
목표 달성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일은 무엇인가?
→ 내가 투자를 지속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가장 작은일은 목실감이다. 그것만큼은 놓지 말자.
P 121
힘을 내자. 세상에서 가장 좋은 것들이 그렇듯 작은 행동에는 비용이 따르지 않는다. 1~2분 정도만 할애해도 되기 때문에 어떤 일정에도 맞출 수가 있다.
→ 작은 행동을 시작하기. 나는 내일아침부터 미라클 모닝을 할거다. 총 12분짜리 미라클 모닝.
작은 것을 쌓아가 보자. 지속이 안되면 어때. 일단 도전해 봤다는 것이 중요하지.
P 137
변화를 위해 작은 계획들을 아무리 잘 짰다고 할지라도 때때로 저항이라는 벽에 부딪히기 마련이다. 하지만 포기하지 마라. 처음에 시도했던 작은 변화가 어렵다면 그조차도 줄여야 한다. 진짜 목표는 이것이다. 작은 행동을 선택한 이유는 노력한다는 느낌조차 들지 않게끔 만들어 두려움을 우회하는 것이다. 행동이 쉬워야 뇌가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가 된다. 장애물을 뛰어넘어 목표에 이르는 길은 이후의 일이다.
→노력한다는 느낌조차 안들게 두려움을 우회하기. 미라클 모닝을 거창하게 생각했다. 완전히 새벽형 인간이 되야 하는 것이라고만 생각해서 시도도 안했다. 그러나 12분짜리 계획을 세우니 그건 할수 있겠는데 싶다.
P 153
최고로 좋은 방법은 “내가 시도하기 어려운 것이 무엇이든간에 이 정도쯤은 할 수 있어.” 라는 답이 나오는 방법이다.
P 160
하나의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같은 원인으로 29번의 작은 재해가 발생했고, 또 그 작은 재해가 발생하기 전에 운 좋게 재해는 피했지만 재해로 연결될 뻔한 사건이 300번 정도가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래서 하인리히 법친은 ‘1:29:300법칙’으로도 불린다. 하인리히 법칙이 말해 주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이 어떤 일이든 중간중간에 작고 사소한 일들을 점검하고 개선하지 않는다면 결국 큰 사건이나 사고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 나에게 작은 큰 사건으로 갈 수 있는 작은 사건들은 가족이다. 투자를 한지 3년동안 집안일 다 해주고, 내가 잘하고 싶고, 조금 더 하겠다는 이야기를 수용해준 남편과 아이들. 지금까지 성실하게 투자공부와 회사말도 아무것도 안하는 나를 잘 참아 주었지만, 아예 관두라고 하기 전에, 알아서 작은 일들을 막아 보자.
오늘도 자리에 앉아서 내리 독서 후기를 쓰고 있지만, 일단 잠시 일어나서 점심을 좀 해보자….
P 181
삶이 힘겨워져 어떻게 제어할 수도 없는 상황에 맞닥뜨리거나 감정적인 고통을 겪고 있을 때는 큰 재앙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작은 문제들을 찾으려고 해야 한다. 작은 문제를 깨닫지 못하면 우리는 더 큰 절망에 빠질 수가 있다. 스몰 스템 전략의 하나 또는 전부를 이용해 해결책을 향해 천천히 나아가는 것만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다.
P 191
보상이 크면 클수록 인간의 자기 능력에 대한 의구심도 따라서 커진다. 크고 화려한 상일수록 에드워드 데밍 박사가 말한 ‘내재적 동기’을 위축시킨다. 데밍 박사에 따르면 사람들은 모두 자신의 일에 자부심을 갖고 싶어 하고 또 유용한 공헌을 하고 싶어 한다. 그러나 큰돈이 보상으로 주어지게 되면 사적인 이익을 추구하게 된다. 보상 자체가 목표가 되어 일에서 찾아야 하는 자극과 창의성이 억제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한번 큰 보상을 손에 쥐게 되면 새로움을 추구하려는 내적 동기가 약해지거나 사라지는 경향도 있다.
P 209
진보의 위대한 순간은 아주 작은 것에 주의를 기울이는 평범한 일상으로부터 시작된다. 평범하기는커녕 지루하기까지 한 것에 혁명적인 변화의 씨앗이 숨어 있는 것이다.
→ 아주 작은 것. 목실감을 쓰면서 하루 원씽을 정하고, 투자에 관한 일들을 하루하루 해내면서 일상을 쌓아가는 것.
강한 몰입을 한 하루가 아니라도, 계속 이렇게 시간을 쌓아 간다면 내 삶은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믿는다.
아주작은 반복의 힘을 읽으면서, 내가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작은 반복들은 쌓아나가면서 성과를 이뤄 냈는데, 해야 하지만 하고 싶지 않은 일은 시도를 하지 않았음을 다시 한번 느꼈다.
나에게 있어서 그건 미라클 모닝.
너무 거창하게 생각했던 것이 시도조차 안하게 됐던 이유였던 것 같다.
지금처럼 새벽에 공부 하더라도, 미라클 모닝을 할 수 있는데 꼭 새벽에 통시간을 내서 공부를 하는 사람만이 미라클모닝을 한다고 생각을 했었던 것 같다.
진입장벽을 낮춰서 아주 아주 작게 시간하면 해야하는 일들은 뭐든 해낼 수 있겠다고 느꼈다.
내일부터 아주작은 반복으로 미라클 모닝을 실천해 봐야겠다.
P 20 필요한 것은 단지 앞을 향해 그저 한 걸음 한 걸은 내딛는 것밖엔 없다.
P 113 목표 달성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일은 무엇인가?
P 153 최고로 좋은 방법은 “내가 시도하기 어려운 것이 무엇이든간에 이 정도쯤은 할 수 있어.” 라는 답이 나오는 방법이다.
#월급쟁이부자들 #월부 #열반스쿨중급반 #재테크책 #부동산책
댓글
럭키스마일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