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행복은 생각인가
행복은 본질적으로 감정의 경험인데 마치 머리에서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행복해져라, 그 안에서 의미를 찾아라, 가진 것에 만족해라, 긍정적인 생각을 해라 등의 조언을 한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행복은 생각을 바꾼다고 생기는 것이 아닌 것을 강조한다.
행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왜, 언제? 뇌에서 행복이 발생하는 가를 알아야 한다.
2.인간은 100퍼센트 동물이다
삶은 경쟁의 연속이다. 자연에서의 경쟁은 바로 ‘생존’이다.
3. 다윈과 아리스토텔리스, 그리고 행복
아리스토텔리스의 목적론적 사고는 인간의 관점에서 우주의 모든것이 의미와 이유를 가진다.
강물은 바다를 향해 가고, 봄비는 꽃을 피우기 위해 내린다고 생각한다. 자연은 그 어떤 것도 그냥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분명한 이유롸 목적을 품고 있다는 주장이다.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이며 이것은 의미 있는 삶을 통해 구현된다. 행복으 어떤 수단이나 도구가 아니라 최종 종착지라고 보는 관점이다.
다윈의 진화론적 사고는 인간은 자연의 법칙을 따라 존재하게 된 하나의 생명체일 뿐이라고 말한다. 인간은 그다지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고 말한다. 진화론에서의 행복은 생존, 욕정, 번식과 같은 매우 본능적이고 원초적인 모습이다. 행복은 생존을 위해 최적화된 수단이나 도구라고 이야기 한다.
4. 인간은 왜 행복감을 느낄까?
저자에 의하면 인간은 행복해지기 위해 태어난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해 만들어진 동물이다. 인간도 쾌감을 억기 위해 생존에 필요한 행위를 하는 것이다. 삶의 의미나 자아성취 때문이 아니라 그 행동에서 얻어지는 기본이 좋기 때문에 그 행위를 반복하는 것이라고 이야기 한다.
행복의 핵심은 거창한 목적이 아니라 그냥 기분이 좋은 것이다.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을 일상에서 자주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행복은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
5. 결국은 사람이다
인간이 경험하는 가장 강렬한 기쁨과 고통은 모두 사람에서 비롯된다
인간은 왜 서로를 필요로 할까?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6. 행복은 아이스크림이다.
행복 지수가 높은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의 행복 원동력은 자유, 타인에 대한 신뢰, 다양한 재능과 관심에 대한 존중감에서 온다. 즉 돈이나 지위처럼 겉으로 보이는 것보다 자신에게 중요한 즐거움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산다.
복권 당첨, 새 집, 좋은 성적 등 짜릿한 일도 지속적인 즐거움을 주지 못한다.
인간은 늘 새로운 것에 놀랍도록 빨리 적응하기 때문이다.
그 덕분에 좌절과 시련을 겪고도 다시 일어서지만, 기쁨도 시간에 의해 퇴색된다.
한편 극단적인 경험(복권당첨)은 한 번 겪으면 장기적인 행복의 관점에서 보면 저주가 될 수도 있다
그 이후에 벌어지는 일에는 별다른 행복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다.
행복한 사람들은 ‘시시한’즐거움을 여러 모양으로 자주 느끼는 사람이다
복권과 같이 큰 사건으로 얻게 되는 것이 아니라 초콜릿 같은 소소한 즐거움의 가랑비에 젖는 것이다.
→ 나의 시시한 즐거움은 무엇일까? 나의 소소한 행복 버튼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객관적으로 얼마나 많이 가졌냐 보다 이미 가진 것을 얼마나 좋아하느냐가 행복과 더 깊은 관련성을 지닌다.
갈증이 너무 심한 살마에게 생수 한 병은 갈증의 고통을 없애주지만, 갈증이 가신 사람에게 물은 더이상 행복을 주지 못한다.
행복을 위해 불행의 요인을 줄이는 것은 덜 불행해질 수는 있지만 더 행복해지지는 않는다.
이것을 가지면 영원히 행복하고 저것을 놓치면 너무도 불행해진다는 생각은 잘못된 생각이다
우리는 상상한만큼 행복해지지도 불행해지지도 않는다. 승리의 환희도 패배의 아픔도 놀라울 정도로 빨리 무뎌진다.
생존 행위는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모든 쾌락은 곧 소멸되기 때문에 커다란 기쁨 한번 보다 작은 기쁨을 여러번 느끼는 것이 절대적이다
8.한국인의 행복
타인의 평가가 내 인생의 유일한 나침반이 되면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내 스스로 느끼고 생각하는 것보다 타인의 반응이 더 중요해진다.
그러다 보면 어느새 삶을 경험하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남에게 좋은 평가를 받기 위해 살게 된다.
9.오컴의 날로 행복을 베다
오컴의 면도날 = 어떤 현상을 설명할 때 필요 이상의 가정과 개념은 면도날로 베어낼 필요가 있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하고 싶은지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남들 눈에 인정받는 것이 중요해지면 쾌락적 즐거움의 기회를 놓치게 된다.
댓글
워닝워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