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45기 올해 2제는 투자 해보자9조 하늘온]독서후기(월씽)

  • 25.06.17

1) 책 개요

- 읽은날짜 : 2025.6.13.(금)

- 총점(10점 만점) : 9.5점

 

2) 본 것

내가 큰 성공을 거뒀을 때에는 단 하나의 일에만 모든 정신을 집중했다. 

모든 일의 중요성이 똑같지 않음을 인식하고, 가장 중요한 일을 찾아내는 것(18)

탁월한 성과는 당신의 초점을 얼마나 좁힐 수 있느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18)

소수의 몇 가지 일을 잘해낼 때 커다란 성공이 온다는 것을 모르고, 너무 많은 일을 하려고 애쓰다 길을 잃는다. 

결과적으로 너무나도 적은 일을 해내는 데 그친다.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더 큰 효과를 얻고 싶다면 일의 가짓수를 줄여야 한다.(19)

한 가지에 파고드는 것은 남다른 성과를 내기 위한 간단한 방법이다.(20)

핵심을 파고들게 되면 단 하나만을 바라보게 된다. 그게 가장 중요하다.(20)

무언가를 향한 열정은 곧 어마어마한 양의 연습이나 노력으로 이어진다. 그렇게 쓰인 시간은 기술로 축적되고, 기술이 나아지면 결과 역시 나아진다.. 더 나은 결과는 보통 더 많은 즐거움을 불러오고, 그러면 다시 더 많은 열정과 시간이 투자된다. 탁월한 성과로 나아가는 선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34)

단 하나를 자신의 일과 삶에 적용시키는 것은 성공을 위해 당신이 할 수 있는 가장 단순하고도 현명한 일이다.(34)

 

<1부. 거짓말 - 의심해 봐야 할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믿음>

제대로 된 인풋 하나가 대다수의 아웃풋을 만들어 낸다. 선택적 노력이 거의 모든 성과를 창조한다.(51)

생각은 크게 하되, 아주 작은 곳에 초첨을 맞춘다.(56)

가장 중요한 일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 되어야 한다.(56)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하고 있으면서 대체 왜 멀티태스킹을 용납하는 것인가?(70)

사실 성공은 단기리 경주다. 건전한 습관이 자리를 잡을 때까지만 자신을 훈련시켜 달리는 단거리 전력질주인 셈이다.(74)

자기관리에 철두철미하게 보이는 사람도 실제로는 몇가지 바람직한 습관을 만들어 확립시킨 것뿐이다.(74)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자기관리에 철저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75)

펠프스는 자신에게 필요한 부분에서 선택적 집중을 발휘했다. 14살부터 베이징올림픽까지 1주일에 7일, 1년 365일 훈련에 매진했다. 그리고 매일 물에서 최대 6시간씩 보냈다.(76)

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습관은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78)

의지력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 잘 활용하는 관건은 그것을 이용하는 타이밍에 있다.(87)

시간이 지나면서 의지력을 쓸 때마다 남은 양이 줄어든다. 의지력의 수명은 정해져 있다.(87)

의지력이 바닥나면 우리는 보통 기본값 조건에 의지한다.(93)

의지력에 대해 생각하고, 주의를 기울여라.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96) 

한정되고도 중요한 자원처럼 의지력 또한 세심히 관리해야 한다.(96)

목적의식, 삶의 의미, 중요성 등을 추구하다 보면 당연히 불균형한 삶을 살게 될 가능성이 높다.(99)

19세기 산업혁명이 발생하며 수많은 사람들이 다른 누군가의 밑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일과 삶의균형(워라밸)이라는

표현이 생긴 것은 기혼여성 중 절반이상이 근로자 대열에 합류한 1980년대 중반이었다.(100~101)

균형잡힌 삶을 추구한다는 것은 어떤 것도 극단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103)

균형을 추구하지 말아야 할 이유는 기적이 결코 중간 지점에서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기적은 바로 극단에서 일어난다. (104)

기억해둬야할 것은 진정으로 중요한 일에 집중하다 보면 다른 무언가는 언제나 제대로 처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108)

핵식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되느냐다.(109)

균형의 문제는 사실 우선순위에 대한 문제다.(111)

큰 성과를 가능하다고 믿으면 기존과는 다른 질문을 던지게 되고, 다른 길을 따르게 되며, 새로운 것들을 시도할 수 있게 된다.(117)

우리가 얼마나 크게 생각하느냐는 얼마나 높은 곳까지 이를 것인가를 결정짓는 발판이 된다.(119)

때로는 일이 상상했던 것보다 쉬울 때도 있고, 때로는 생각보다 훨씬 힘들 때도 있다. 바로 그런 때, 큰 성과를 올리기 위한 여정에서 자기 자신도 더 커진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123)

큰 일을 두려워하지 마라. 평범한 이류에 그치는 것을 두려워하라. 재능의 낭비를 두려워하라. 삶을 최대한으로 살지 못할 것을 두려워하라.(125)

크게 생각하고 크게 살아야지만 자신의 삶과 일에서 진짜 잠재력을 경험할 수 있다.(125)

 

<2부. 진실 – 복잡한 세상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 법>

우리는 우리가 하는 일 때문에 성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런 모든 일들을 다 함에도 ‘불구하고’ 성공하는 것이다. 시간을 관리하는 건 불가능하고, 성공의 열쇠는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이 아니라 우리가 잘하는 핵심적인 몇 가지의 일에 달려 있다. 내가 배운 성공의 핵심은 이렇다. 삶의 매순간마다 가장 적합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133)

지나치게 많은 분야에 돈과 노력을 투입하면 반드시 실패합니다.

달걀을 모두 한 바구나에 담고 바구니를 잘 지켜라. 달걀을 가장 많이 깨뜨리는 사람은 하나의 바구니를 들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너무 많은 바구니를 들고 있는 사람입니다.(by 앤드루 카네기가 대학생들 연설 중)(135)

훌룽한 질문은 분명 훌륭한 답을 얻을 수 있는 가장 빠른 길이다.(137)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 무엇이냐에 따라 궁극적으로 우리의 삶이 되는 해답이 정해진다.(139)

올바른 질문을 스스로 만들어내야 한다. 그것은 온전히 우리의 몫이고, 그 누구도 대신해 줄 수는 없는 일아다.(139)

초점탐색 질문을 끊임없이 던져라. 그리고 그것을 묻고 또 물어라.(141)

해답으로부터 최대한 많은 것을 얻고 싶다면 그것이 당신의 컴포트존 바깥에 있음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161)

 

<3부. 위대한 결과. - 인생의 반전을 불러오는 단순한 진리>

단 하나를 실행에 옳기고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데 필요한 3가지 요소는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이다.(168)

우리의 목적의식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가 행동의 생산성을 결정한다는 것을 일깨워 준다.(175)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어 하는지가 곧 우리의 하는 일과 성취하는 바를 결정짓는다. 목적의식에 따라 사는 삶은 그 무엇보다도 강력하고 그 무엇보다도 행복하다.(177)

돈이 행복감을 게속해서 가져다주는 건 그 돈을 원하는 이유에 달려 있다.(182)

행복은 더 많은 재산보다는 더 큰 목적의식을 가졌을 때 나타난다. 그래서 행복은 만족으로 가는 길에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다.(182)

성공에는 한가지 진실이 있다. 이번의 순간에 무엇을 하느냐가 다음 순간에 무엇을 경험하느냐를 결정한다는 것이다.(188)

최종목표 > 5년의 목표 > 1년의 목표 > 한달의 목표 > 한 주의 목표 > 하루의 목표 > 지금의 목표

우리는 과도하게 낙관적이고 스스로의 능력에 대해 평균 이상이라고 자부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어떤 결과에 수반되는 과정을 철저하게 생각하지 않는 우를 범함다. 전문가들은 이것을 계획의오류라 한다.(195)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사람들은 그저 남들보다 오랫동안 일해서 그렇게 된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 내에 더 많은 일을 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정해 두고, 독하게 그것을 지킨다.(201)

시간을 확보하는 일은 에너지를 집중시킬 뿐 아니라 가장 중요한 일에 힘을 쏟게 해준다. 생산성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도구다(202)

하나의 활동에서 월등하게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온다면 바로 그 하나의 행동에 월등히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만 한다.(204)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 즉 탁월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은 단 하나의 일을 중심으로 하루 일과를 계획한다. 그들이 매일 잡는 가장 중요한 약속은 자신과의 약속시간이며, 절대 그것을 어기는 법이 없다.(209)

자신이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에 대해 구체적인 목표가 정해지면 시간이 초과되든 남든, 일단 그것을 끝내고 본다.(209) 

생산적인 사람들은 업무에 걸리는 시간에 따라 일한다. 그들은 자신이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을 완수할때까지 일을 중단하지 않는다.(209)

하루 4시간을 따로 떼어두라(209)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213)

시간 확보하기를 통해 남다른 성과를 올리려면 3가지 약속을 지켜야 한다.

1) 자신의 일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최고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

2) 끊임없이 최적의 길을 찾으려 노력해야 한다.

3) 자신만의 단 하나를 달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다고 기꺼이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221)

단 하나를 위한 3가지 약속

1) 전문가의 길을 향해 걸어라

2)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하라.

3) 책임감을 갖고 살아라.(222)

무언가의 경지에 이르고자 그것을 추구하는 행위 자체가 당신이 해야 하는 모든 다른 일을 더 쉽게 만들 것이다.(222)

단 하나를 위해 시간을 따로 확보할 때에는 그것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겠다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224)

무언가의 경지에 이르는 길은 그냥 최선을 다하는 것이 아니다.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가장 알맞은 방법으로 노력할 수 있어야 한다. 시간 확보하기에서 최대한 많은 것을 얻어내려면 자신의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것이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의 이동이라고 함(226)

목적의식을 가진 접근법 – 어렵고 부자연스러운 일에 도전한다.(229)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는데 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최고라는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도전적 방식에서 벗어나 목적의식을 지닌 방식으로 시도해 보아라. 더 나은 모델과 시스템, 더 멀리 갈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라.(230)

코치(멘토)를 찾아라. 코치없이 남다른 성과를 이룩한 사람은 찾기 힘들 것이다.(237)

생산성을 훔쳐 가는 4종류의 도둑들

1) 아니오 라고 말하지 못하는 것 2)혼란에 대한 두려움 3)건강에 나쁜 습관들 4)목표달성을 도와주지 않는 환경

자신에게 제약이 있다고 믿으면 제약이 생긴다. 생각하여 길을 반드시 찾아내라.(247)

정신적 건강을 위해 명상과 기도로 하루를 시작하여, 자신의 목적을 상기하고 마음을 다잡는 것으로 아침을 열어라. 영양가 높은 아침식사를 하라(249)

하루종일 완벽한 하루를 보내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매일 아침 활기찬 시작을 하는 데 전념하라.(251)

오전을 잘 구성하는 것이 곧 남다른 성과를 낼 수 있는 가장 쉬운 길이다.(251)

홀로 성공하는 사람도 없고, 홀로 실패하는 사람도 없다. 주변 사람들에게 관심을 기울여라. 당신의 목표를 지지해 줄 사람들을 찾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멀리하라.(255)

성공으로 가는 길을 깨끗이 치워 둘 때 비로소 일관되게 성공에 이를 수 있다.(256)

자신의 목적의식과 우선순위를 믿을 때에만 비로소 단 하나를 추구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단 하나에 대한 확신이 들면 그 일을 행하기 전에 가졌던 그 어떤 망설임도 이겨 낼 힘이 생길 것이다.(261)

사람, 즉 스스로를 바로 세워라. 그러면 세상이 저저로 제자지를 찾을 거이다. 삶에 목적의식을 가지고, 매일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에서 높은 생산성을 올릴 수 있다면 당신의 삶도 조각이 맞춰지는 것은 물론 위대한 성과가 가능해진다.(268)

 

4) 깨달은 것

  1. 모든 일이 중요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가장 중요한 일 한가지를 찾아야 하고, 그 일을 가장 우선순위에 두고 그 일을 중심으로 하루 계획을 세워야 한다. 모든 일을 다 하면서 중요한 목표를 이룰 수 없기에, 해야할 일의 가짓수를 줄여야 한다.
  2. 균형잡힌 삶이 아름답고 추구해야 할 사람이라고 생각해왔는데, 균형잡힌 삶이란 결국 목표를 이룬후에 불균형을 맞춘 상태이다. 그 성공의 과정에서는 중요한 일에 집중하기에 반드시 불균형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지나친 불균형이 지속되면 일상에 문제가 생기기에 그때끄때 마다 문제가 생기지 않기 위해 균형을 잡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불균형의 과정속에서 중간중간 균형을 잡아주어야 한다.
  3. 목적의식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실행이 생산성을 결정한다. 결국 목적의식이 가장 중요하다. 내 삶의 목적의식이 무엇인지를 설정하는 일이 정말 중요하고, 이 목적의식에 따른 나의 성취를 결정하고, 지속적인 행복한 삶의 결정하기에 나의 목적의식에 대해 늘 생각하고 고민해봐야겠다.
  4. 경지에 이르는 것은 최선을 다하는 것을 넘어서 최고의 결과를 내기 위해 방식과 과정을 지속해서 개선해야 하고 어렵고 부자연스러운 일에 도전해야 한다. 즉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 이동이 필요하다. 그래서 투자에 있어서도‘적당히’ 잘하는 것이 아니라 ‘최고의 수준의 투자’을 한다고 생각하고 늘 도전해야겠다.

댓글


녹차
25. 06. 17. 17:28

하늘님 조모임때 나만의 속도로 걸어가기 밀씀해주신점 공감 많이 되었어요 늘 응원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