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9
사람들은 일의 양에 따라 성과가 점점 더 쌓이기를 바라는데, 그렇게 하려면 '더하기'가 아닌 '빼기'가 필요하다. 아무것도 줄이지 않은 채 일을 자꾸 더하기만 하면 결국엔 부정적인 결과를 맞을 수밖에 없다
=> 여러가지를 동시에 해내면 그게 일을 잘하는 거라 생각했다. 동시에 하는 일 중에 중요하지 않은 일이 대부분일 것이다. 중요한 일을 해야한다
p51
80/20 법칙은 소수의 원인, 입력 혹은 노력이 보통 다수의 결과, 출력 혹은 보상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 최상위권 부자들의 재산이 전체 재산의 대부분이고 소수의 인원들로 인해 세상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이치인 듯. 내가 하는 중요하지 않은 노력들은 사실상 필요하지 않다
p54
계속해라. 20퍼센트만 남기고, 거기에서 다시 20퍼센트만 남기는 식으로 가장 중요한 단 하나에 이르기까지 계속해라
=> 내가 해야할 일을 최소화해라. 해야만 하는 일만 남을 때까지 불필요한 것을 최소화 해야 한다. 모든걸 다 할 필요는 전혀 없다
p57
'줄 긋기' 게임에 빠지지 마라. '끝난 일에 줄 긋기'게임에서는 승자가 나올 수 없으니 거기에서 벗어나라. 모든 일이 똑같이 중요할 순 없고, 성공은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일에 숨겨져 있다
=> 내가 많이 하는 끝난 일에 줄 긋기. 줄 긋기 하면 계획했던 일들을 다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그 일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했던 기억은 없다. 중요한 일을 먼저 해야하는데 줄긋기는 도움이 되진 않는다. 그렇다고 줄긋기를 안하는건 쉽지 않으니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방식의 줄긋기를 해야겠다
p61
컴퓨터에서 말하는 멀티태스킹이란 서로 다른 여러 작업(task)이 각각 번갈아 가면서 하나의 자원(예를 들어 CPU)을 공유하는 것이었다
=> 멀티태스킹이 하나의 자원에서 뽑아 쓰는 것이라 생각해 본적이 없다. 그저 동시에 똑같은 효율로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동시에 하면 효율과 집중력은 극도로 낮아질 수 밖에 없다
잠재적인 비극들은 모두 사람이 한 번에 너무 많은 일을 하려고 애쓰다가 반드시 해야 할 일,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을 잊어버리는 데서 발생한다
=> 대부분의 사고는 집중력 부재에서 나온다. 하나에 집중해서 해야 하지만 일을 하다보면 부수적으로 해야할 일이 너무 많아 일에 집중하기 힘들 때가 많다. 사실 운전할 때도 운전만 해야 하는데 휴대폰을 하다가 사고나는 일이 빈번하다
p66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할 수는 있지만 한 번에 두 가지 일에 모두 효과적으로 집중할 수는 없다
p67
한 번에 두 가지 이상의 일을 하려 애쓰는 것은 집중력을 분산시켜 그 두 가지 일 모두에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은 둘을 동시에 하는게 아닌 하나에 몰입하는 것이다
p70
비행기 조종사나 의사의 일이 집중하지 않고는 성공적일 수 없듯이 우리의 일 또한 그러하다
=> 조종사나 의사들은 그 일에 집중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나는 과연 운전할 때 운전에 집중하고 하나의 일에 집중하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했는가?
p75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 무얼 위해 모든 일을 제대로 하려하는가? 사람들의 인정? 인정받고자 하는 욕심 때문인가? 많은 일을 하면 하나가 얻어 걸리길 바라나? 옳은 일을 하려면 하려면 하나에 몰입해야 한다
p79
새로운 습관을 들이는 데는 평균 66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월부에서는 90일이라고 90일 습관 챌린지를 하는데 66일이라는 얘기, 30일 이라는 얘기가 많다. 예전 초사고 글쓰기 30일 챌린지를 하며 느꼈지만 30일도 충분한 것 같다. 숫자가 중요하지 않다 일단 꾸준하게 계속 해보자
p81
한 번에 하나씩 습관을 들여라
=> 한 가지, 원씽에 몰입하는 것과 습관은 다르다. 좋은 습관을 많이 만들고 한 가지 원씽에 몰입하라
p89
머리를 많이 쓸수록 정신력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p91
한 가지 일을 위해 의지력을 사용했다면, 연료를 재충전하지 않는 한, 다음 번 일을 할 때 필요한 의지력이 부족해진다
=> 한 가지에 집중을 한다면 중간중간 에너지 보충은 필수다. 에너지를 보충하지 않으면 효율은 급격히 떨어진다
p93
의지력이 바닥나면 우리는 보통 기본값 조건에 의지한다.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그렇다면 당신의 기본값은 무엇인가?
=> 나의 기본값? 의지력이 바닥나면 기본값도 못할듯 하다. 중요한 일을 의지력이 바닥나기 전에 하냐마냐가 관건
p95
의지력이 가장 높을 때 가장 중요한 일을 우선으로 처리해야 한다. 다시 말해 중요한 일은 하루 중 가장 의지력이 충만한 시간에 하라는 뜻이다
=> 내 의지력이 가장 충만한 시간은 기상 직후, 오전, 운동 후 샤워하고 난 직후이다
p97
하루라는 시간을 투자해 최고의 성과를 얻고 싶다면 의지력이 떨어지기 전에, 당신의 가장 중요한 일, 그 한 가지 일을 일찍 해치워라. 의지력을 늘 꺼내 쓸 수는 없을지 몰라도 가장 중요한 일에 가장 먼저 사용할 수는 있을 것이다
=> 중요한 일은 먼저하는 습관을 들여라. 중요하지 않은 일들은 집중력이 떨어졌을 때 짬내서 하면 충분하다. 오전시간이 에너지도 많고 의지가 많기 때문에 오전시간을 금 같이 보내자
p107
'균형'이란 말 대신 '중심 잡기'라고 해보자
=> 균형이란 말도 결국 중심을 잡는 과정이다
p111
삶이라는 게임에서 다섯 개의 공을 저글링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라. 그 공은 각각 일, 가족, 건강, 친구, 정직이다. 어느 날 '일'이 고무로 된 공이라는 걸 깨닫게 된다. 그걸 떨어뜨리면 도로 튀어오를 것이다. 하지만 다른 네 개의 공, 즉 가족, 건강, 친구, 정직은 유리로 만들어져 있다. 그걸 떨어뜨리면 돌이킬 수 없이 흠이 나고, 이가 나가거나, 심지어 산산조각이 날 수도 있다
=> 일에 몰입해서 가족,건강,친구,정직을 잃는 실수를 저지르지 말자. 특히 가족과 건강이란 공을 떨어뜨려 깨지게 되면 내 인생에 가장 큰 아픔을 줄 수 있다
p112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그것부터 끝내야 한다. 그런 다음 퇴근해서는 가정에서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파악하여, 다음 날 다시 일에 집중할 수 있어야 한다
=> 주어진 일의 순서대로 우선순위를 정하지 말고 나에게 가장 중요한 순으로 일을 처리하자. 가정이 평안해야 모든 일이 잘 풀리게 되어있다. 가족과 시간을 보낼 때는 진심과 열정을 다해 시간을 보내자
p113
가장 중요한 업무에는 극단적일 정도로 시간을 투자하고,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큰 부담을 갖지 마라. 직업적으로 성공하려면 그렇게 해야 한다
=> 나는 너무 중요하지 않은 일에도 많은 시간을 투자했던 것 같다. 중요하지 않은 일들은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자
p123
전반적으로 크게 생각하면서 성장을 추구하는 성장의 사고방식
=> 성장을 위한 과정에서 많은 실수는 당연한 것이며 고생하겠지만 얻는 것 또한 많을 것이라고 인지
p142
초점탐색 질문
①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② 그 일을 함으로써
③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p143
경주마처럼 옆을 볼 수 없게 눈을 가리고, 인생에서 복잡한 다른 것들을 싹 정리하라. 중요한 일에만 집중하고 초점을 흐트러뜨리는 다른 일들을 피하면 인생을 송두리째 변화시킬 가능성이 더 커진다
=> 한 가지 일에만 집중하기가 너무 어렵다. 신경쓸 일이 많고 중간중간 방해요소가 많다. 그 방해요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는게 관건이다
p145
작은 초점 질문 : "지금 당장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아침에 일어 났을 때, 그리고 하루 일과 내내 이 질문을 사용하라
=> 하루 일과 내내 이 질문을 활용한다면 우선순위에 따라 움직일 수 있을 것이다
p148
다른 모든 일들을 쉬워지게 하거나 필요 없게 만들 그 단 하나의 일이 무엇인가?
"이번 주 목표 달성을 위하여 나의 다른 모든 일을 더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어 줄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오늘 다른 모든 것들을 더욱 쉽거나 불필요하게 만들어 줄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 항상 생각해야한다. 계속 생각하면 불현듯 단 하나의 일을 하게 될 것이다
p158
큰 질문을 던지는 것은 본질적으로 큰 목표를 추구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그렇게 할 때마다 같은 패턴, 즉 크고 구체적인 것을 보게 될 것이다. 크고 구체적인 질문은 크고 구체적인 해답으로 이어진다. 이는 다시 큰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 크고 구체적인 질문은 크고 구체적인 해답을 줄 것이다. 크게 생각하고 구체적으로 생각하자
p161
당신이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은 자신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줄 단서와 역할 모델을 찾는 것이다. 다른 이들이 무엇을 배우고 깨달았는지 알아보는 것이 당신의 첫 번째 조사가 될 것이다
=> 내가 가고자 하는 길에서 성공한 선배들을 따라하자. 나의 멘토를 정해야한다. 누구로 정해야 할까? 지금까지 내 멘토는 너나위다. 월부 안에서 나와 비슷한 환경에서 성공한 선배들을 더 찾아봐야겠다
p168
'단 하나'를 실행에 옮기고 탁월한 성과를 올리는 데 필요한 세가지 공식
①목적의식
②우선순위
③생산성
p175
목적의식을 갖고 우선순위에 따라 생산성을 위해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p177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어 하는지가 곧 우리의 하는 일과 성취하는 바를 결정짓는다
=> 목적의식을 항상 생각해야한다
p190
최종의 목표를 이루기 위해 앞으로 5년 내에 내가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지금 당장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알 때까지 생각하는 법을 훈련하고, 하나의 목표를 다음 목표와 연관 짓는 법을 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 이런 생각을 자주 훈련해야겠다
최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단 하나는 무엇인가?
=> 최종의 목표를 위해 지금 당장 해야 할 것을 생각하면 안된다. 이런 생각은 효과가 없다. 스텝 바이 스텝으로 생각하자
p196
목표와 가장 중요한 것을 적어 두는 것은 우선순위에 따라 살기 위해 당신이 해야 할 마지막 단계다. 그리고 무슨 일을 해야 할지 알게 된 다음 해야 할 단 한가지는, 아는 것을 실천하는 일이다
=> 목표를 적어놓고 직접 말하며 선언하라. 시각화 시켜서 뇌가 인지하게 하라
p205
그 날에 정해 둔 단 하나의 일을 마치고 난 다음에는 나머지 시간을 다른 모든 일에 쏟아도 된다
=> 가장 중요한 일을 일과시간의 절반에 먼저 해내고 나머지 일들을 나머지 시간에 해나가라
p209
관건은 하루 중 최대한 이른 시간 중에 단 하나의 일을 할 시간을 따로 확보해 놓는 것이다. 출근하여 급한 일을 처리할 시간을 30분에서 한 시간 정도로 정리하고, 곧장 단 하나의 일로 넘어가라. 하루에 네 시간씩을 따로 떼러 두는 것이다
=> 아침에 출근해서 급한 일 처리할 시간을 배정하고 이른 시간에 4시간 몰입하여 가장 중요한 한 가지 일을 수행하자
p212
탁월한 성과를 경험하려면 아침에는 생산자가 되고 오후에는 관리자가 되어라
=> 회사에서는 다른 사람들의 일정에 맞춰 움직이는 시간이 있기에 이른 시간에 내가 해야 할 일을 하자
p213
매주 한 시간을 따로 떼어 연간 목표와 월간 목표를 검토하라
=> 목표를 검토하며 복기하는 시간을 갖자
p217
가장 효과적인 것은 "나의 단 하나의 일이 끝날 때까지 다른 모든 일은 나의 집중력을 흐리는 잡무에 불과하다"라고 쓰인 종이를 책상 앞에 붙여 놓은 것이었다
=> 시각화가 중요하다. 중요한 명언들은 보이는 곳에 뽑아놔야겠다
p218
해야 할 다른 일들이 수시로 떠오른다면 그것들을 할 일 목록에 적고 일단 눈앞에서 치워라. 그렇게 하면 그 일을 반드시 해야 할 시점이 오기 전까지 시야에서도, 마음속에서도 잠시 지울 수 있다
=> 해야 할 일이 떠오르면 휴대폰에 메모해두고 일단 치우고 하고 있던 일에 집중하자
p223
'1만 시간 법칙'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수준의 연주자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수년에 걸쳐 일정 수준 이상의 연습을 규칙적으로 했다고 밝혔다
주말 10시간+(주중 2시간*5일) = 1주 20시간 * 50주(1년) = 1000시간 * 10년 = 1만시간
평일 2시간, 주말 10시간 투자공부를 10년간 해보자. 전문가가 되어 있을 것이다
p226
시간 확보하기에서 최대한 많은 것을 얻어내려면 자신의 일하는 방식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것을 나는 '도전에서 목적의식으로의 이동'이라고 부른다
=> 무작정 도전하며 시작하는 것 보다 개선해서 어떻게 하면 시간을 아낄수 있을지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p227
남다른 성과를 원한다면 자신의 단 하나를 위해 일할 때 OK고원이나 다른 성취의 한계를 받아들여선 안 된다. 고원과 한계를 넘어소고 싶다면 목적의식을 가진 접근법을 가져라
=> 실망-포기-안주-주기의 반복을 벗어나자
집중-모델-시스템-돌파구로 목적의식을 가지고 한계를 뚫고 나가라
p234
삶에 책임감을 불어넣는 가장 빠른 길 중 하나는 책임감 있는 파트너를 찾는 것이다. 책임의식은 친구나 동료로부터, 그 중에서도 가장 높고 고귀한 형태는 코치나 멘토에게서 나온다. 경우가 어떻든 책임의식을 불러일으키는 인간관계를 확립하고, 파트너에게 언제나 가장 정직한 진실만을 말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멘토를 잘 정하자
p242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할 수는 없다. 만약 그렇게 하려고 애를 쓴다면 기쁘게 해주지 못할 단 한사람은 바로 당신 자신이다. 명심하라. 자신이 해야 할 단 하나의 일에 '예'라고 말하는 것이 당신이 가진 최고의 우선순위다. 이것만 명심한다면 정해 둔 시간을 잡아먹을 일에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도 쉬워진다
=> 중요하지 않은 일에는 NO라고 말할줄 아는 용기. 이 용기가 있어냐 내가 가장 중요한 일에 YES라고 할 수 있다
p244
성공의 열쇠가 무엇인지는 모른다. 하지만 실패의 열쇠는 모든 사람을 기쁘게 하려 드는 것이다. 자신의 단 하나에 가장 강력한 "예!"를 말하고 나머지에게는 '아니오!'라고 외칠 수 있을 때, 비로소 남다른 성과가 가능해진다
=> 남들이 중요한게 아니다. 모든 사람에게 인정 받으려 애쓰지 마라. 내가 중요하다!!!
p254
성공을 추구하는 사람들과 어울리면 분명 그들이 당신의 동기를 더욱 강화시키고 성과 역시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 것이다
=> 월부 동료들에게 긍정적인 힘을 얻자
p255
당신의 목표를 지지해 줄 사람들을 찾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멀리하라. 힘이 되는 환경을 만드는 데 있어 사람이 첫 번째 우선순위라면 그 다음은 장소다
=> 월부가 최적의 장소다. 월부에서 성장하자
p256
정신이 팔릴 만한 곳에 스스로를 놔두지 마라. 당신의 물리적 환경도 중요하고, 주변 사람들도 중요하다
=> 내가 맞닥뜨리는 시각과 청각 도둑들을 제거하자. 휴대폰을 자주 들어가지말고 혼란스러운 환경을 만들지 말자
p257
혼란을 받아들여라. 자신의 단 하나를 추구하다 보면 다른 일들이 미뤄질 수 있음을 인정하라
=> 모든 걸 다 잘하려고 너무 신경 쓰지 말고 중요한 한가지 일에 더 집중하자
p262
앞으로 20년 뒤 당신은 한 일보다 하지 않은 일을 후회하게 될 것이다. 그러니 배를 묶은 밧줄을 풀어라. 안전한 부두를 떠나 항해하라. 무역풍을 타라. 탐험하고, 꿈꾸고, 발견하라 - 마크 트웨인
=> 도전하라. 하지 않고 후회하지 말고 일단 시도하라!!!
p275
모든 일을 다 하려다가는 아무것도 못하게 된다. 그저 단 하나만, 올바른 단 하나만 하려고 애쓰면 이제껏 원했던 모든 것을 갖게 될 것이다. 그러니 망설이지 말고 당장 시작하라. 자신에게 이렇게 물어라. "다른 모든 일을 더 쉬워지거나 필요 없게 만들, 지금 당장 시작할 수 있는 내 인생의 단 하나는 무엇인가?"
<이 책의 원씽>
모든 일에 우선순위를 정해 가장 중요한 일을 오전에 수행하자
댓글
엘리노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