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계약부터 전세까지 실전투자 A to Z
게리롱,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임장을 다녀왔는데 초보때는 정리가 안됐었다.
지역을 다녀왔다면 지역의 핵심가치를 알아야 한다.
I. 지역내 핵심가치
[핵심가치를 확인한다]
가격 (전고점 그룹핑) 전고점수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한다.
[ 비슷한 가격의 단지들을 묶어 비교평가]
[더 버는 투자를 결정짓는 한 끗차이]
BCDS vs DT 둘다 가능하다면
둘다싸다면, 가격이 조금더 높더라도 핵심단지에 투자해야 한다.
교통, 균질성, +알파 ==> 핵심가치를 확인하는 과정
[시장의 저평가 여부 판단하여 매수 우선순위 참고]
만일 비교평가가 힘들다면, 입지만 남아있는 단지를 비교해봐야한다.
다 쌀데는 지역내 핵심가치를 가장 충족하는 단지를 찾아야한다.
절대적저평가: 다싼거 - 할 수 있는 게 많다. 우선순위가 좁다. 더 봐야한다.
상대적저평가: 싼것과 안싼것이 뒤섞인 시기(마포 마레프외, 마포의 중동 상대적 학군지)
우선순위가 넓어진다.
투자의 원칙은 변함이 없지만, 시장상황이 바뀌게 되면
우선순위가 좁게 볼건지 우선순위를 넓게 봐야한디.
II. 지역간 비교 - 갭만 비스하고 가치, 가격, 연식, 평형 모두가 중구난방인 비교평가
아파트의 가치대비 가격 - 가격이 비슷하다면 가치가 좋은것 (가격고정)
- 가치가 비슷하다면 가격이 싼거 (가치고정)
[우선순위]
교통(접근성)
위치
[+알파]
직장
학군
환경
그외주변위치
=> 가치가 차이나는 곳은 더 가치가 있는 곳은 우선순위
=> 장단점이 혼재하는 경우는 상황에 맞는 곳 우선순위
투자자의 상황도 고려(현금흐름, 투자방향성(2주택 vs 다주택), 개인및 물건사항
=> 맞고 틀린는 정답이 아니라 우선순위가 있고, 내 선택에 맞는 행동이 따를 뿐
III. 물건별 비교평가 : 실제 들어가는 비용 정확히 체크하기
1. 동층별 선호도
2. 수리상태
3. 점유자 조건
특히 수리와 실제 전세 금액을 확인하느 과정이 중요하다.
IV. 비교평가 -지방(지방은 인구가 수요다)
1. 지방은 인구가 수요다
2. 지방은 빈땅이 많다
3. 지방은 전세가의 움직임이 중요하다.(공급)
[우선순위]
도시규모(인구)
환경(균질및 쾌적성)
학군(+부촌 커뮤니티)
2. 건물가치(연식, 세대수, 그외선호영향)
3. 공급(향후 3년)
[+알파]
직장(포항이나 창원은 직장이 중요)
교통(주요직장 또는 중심지 접근성)
나에게 적용할 점
잔쟈니 투텨님
언제 어디서든 투자물건을 찾을 수 있는 실력이 부자로 만들어 준다.
나약한 의지력, 인내심 탓하며 자책하지 말고 실력을 쌓을 수 있는 환경에서
꾸준히 실력과 앞마당을 쌓고 투자하고 버티세요.
지금도 그래왔듯 앞서 간 분들을 보면서 할 수 있는 만큼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자.
댓글
하루히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