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중 45기 4면 꼭 5를 아파트 투자는 5늘부터 8때까지 재미있는나무]-그릿독서후기-노력하지 않을때 당신의 재능은 발휘되지 않은 잠재력일 뿐이다
25.06.30
* 독서후기 제목은 닉네임과 책 제목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해주세요! :)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그릿
2. 저자 및 출판사:엔절라더크워스/비지니스북스
3. 읽은 날짜: 2025.6.27
4. 총점 (10점 만점): / 10점/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성공하는 사람들은 끊임없이 발전을 추구했다. 목표의 달성만큼 이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만족을 느꼈고 해야만 하는 일 중에서 일부는 지루하고 좌절감을 안기구 심지어 고통스럽다고 해도 그들은 추호도 포기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들의 열정은 오래 지속됐다.(재능보다 끈기와 열정의 중요성)
어떤일이든 한참이 지나면 싫증을 느끼는 것이 인간본성이지만 그릿 척도에서 관심이 오랫동안 유지되는지 질문이 있듯이 그릿전형들은 자기가 즐거운 일을 발견하고 그 관심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심화하는 법을 배운다는 사실이다.( 힘들다고 목표에서 벗어나기보다 더 파고들어 집중하기)
타고난 재능보다 노력과 학습에 칭찬을 들은 성장형 사고방식을 지녔던 아이들이 역경에 대한 낙관적 해석을 낳고, 이는 다시 끈기 있게 새로운 도전을 행동으로 이어져 결국 더 강한 사람으로 만들어준다.(긍정적인 생각이 모든 삶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제1장 그릿, 성공의 필요조건
그릿. (투지,끈기, 의지) 살면서 직업 외에 것에 그릿을 넣어본적이 있나? 돈을 버는 직업에서도 그릿이 약한 편이였고, 성공한 사람들은 재능, 운으로만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했는데 책에 나오는 사례들로 성공을 하기 까지 얼마나 많이 노력하고 끈기있게 해나가는지 알게 되었다. 나도 투자로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 구체적인 목표를 다시 한번 설정하고 계획하기
제4장 당신의 그릿을 측정하라.
그릿의 점수가 2.8 얼마나 열정과 끈기가 없는 상태로 삶을 살아가고 있었나 생각했다. 하지만 그릿의 점수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해주니 희망적이다. 그릿은 아주 오랫동안 동일한 상위 목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하고 투지가 강한 사람은 중간목표와 하위목표가 최상위 목표와 관련성이 있다. 목표를 잡을 때 최상위-상위-하위 목표를 최상위에 무엇을 두고 어떻게 뻗어 나아가야 하는지 생각하기.
제7장 질적으로 다른 연습을 하라.
직장생활내내 그 일을 하고 있지만 괜찮은 정도 또는 해고되지 않을 정도의 기술에 나도 머무르고 있지 않은가? 최고가 되고 싶다고 생각은 해봤는가? 목표는 설정하지만 그 목표를 위해 무엇을 하려고 노력했는지가 없었다.최고가 되고 싶다면 ‘의식적인 연습’ 목표를 설정하고 잘하는 부분에 집중하기 보다 약점을 개선하려고 노력하고 그것을 반복하자.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아침30분 일찍 기상해서 목실감 작성.
최상위-상위-하위 목표 설정하기.
낙관적 사고방식으로 생각하고 말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75) 존어빙(난독증이 있는 작가) : 어떤 일을 아주 잘하려면 능력 이상으로 노력해야한다. 거듭해서 하다 보면 재능이 없는 일도 제2의 천성처럼 된다는 것을 깨달았죠. 그 일을 할 능력이 있기는 하지만 하루아침에 되지는 않다는 사실을 배웠습니다.
(p.82) 노력하지 않을 때 당신의 재능은 발휘되지 않은 잠재력일 뿐이다. 노력은 재능을 기량으로 발전시켜주는 동시에 기량이 결실로 이어지게 해준다.
(p.149) 현실적으로 초반의 관심은 사그라지기 쉽고 모호하기 때문에 몇 년 동안 힘껏 기르며 다듬을 필요가 있다.
(p.162) 관심사를 발견한 다음에는 발전시켜야 한다. 흥미를 다시, 또다시 자극해줘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라. 그리고 인내심을 가져라. 관심이 발전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끊임없이 질문하고 그 대답들이 다시 질문으로 이어지게 해서 관심사를 계속 파헤쳐라.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을 찾아라. 격려해 주는 멘토에게 다가가라. 시간이 가면서 당신은 더욱 능동적이고 정보가 많은 학습자가 될 것이다.
(p.227) 다시 일어서는 자세, 희망을 품어라(낙관론자,비관론자)
(p.249) 좌절과 실패를 맛보더라도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이지 말라는 교훈이었죠. 그럴 때는 한 걸음 물러나서 원인을 분석하고 교훈을 얻어양 합니다. 그리고 낙관적인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