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쪼코파이a] 몰입 후기

  • 25.06.30


읽은 날짜: 25.6.26~30

제목: 몰입
저자:황농문

#1초 원칙 #Think Hard #슬로싱킹

 

인상 깊은 문구.

p52
엔트로피 법칙이란 모든 현상은 언제나 전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법칙이다. 여기서 엔트로피는 무질서한 정도로 생각하면 이해하기가 수월하다
쉽게 말해 이 세상은 계속 무질서해지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우리가 집중된 상태에서 산만한 상태로 가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 질서에서 무질서로 이어지는 현상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맥락을 알고, 의도적인 몰입이 더욱 필요한 이유가 될수있겠다.

p59
엔트로피 법칙으로 중요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바로 세상 모든 것은 자연스럽게 확률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엔트로피가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경향에 맞서 이를 감소시키려는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우리는 타락이나 쇠퇴의 길로 빠지게 된다.

- 흘러가는대로 놔둔다면 내가 목표한 그 목적달성의 확률이 매우 낮다라는 것이다. 나의 특별한 노력이 엔트로피에 맞서 이겨낼수 있다.

p66
본능을 거스르고 기꺼이 오르막을 오를 수 있는 메커니즘은 이 방법밖에 없다
반드시 오르막 혹은 힘든 시간 후에는 짜릿한 성공을 경험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야 한다.

우리가 어떤 일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되, "혼신으로 노력했고 지긋지긋했다!"라는 경험은 피해야 한다
대신 "혼신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라는 경험을 해야 한다

-항상 쉽게 얻을수 있었던것은 없었다.
내가 꼭 이루고자 하는것 얻고자 하는 것엔 고난,고통이 따랐던것 같다. 이겨 낸 내가 성공의 짜릿한 경험을 겪었던 것이다. 항상 '혼신으로 노력했고 좋았다!'란 마음으로 최선을 다하자.

p134
장시간을 걸쳐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경우에는 자신만의 페이스를 찾아서 하루의 패턴을 만들고 이것을 반복해야 한다.

그때 가장 중요한 것은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피로가 누적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충분한 수면 외에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규칙적인 활동도 일상의 패턴에 포함시켜야 한다.

-'쉬는것도 성장이다'라는 것처럼.
눈앞에 단기간에 매몰되는 것이 아닌
장기간 해낼수 있는 넓게 볼줄을 알아야겠다.

p143
프로가 되려면 자신이 연구하는 분야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다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내가 하는 일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믿어야 비로소 자신의 인생을 던져서 그 일을 하게 되고 그래야
재미있고 경쟁력도 생긴다는 것이 윤 교수님의 가르침이었다.

-내가 하는 일, 몰입하는 일에 의심을 품지말자.
특히 요즘 주변의 유혹들이 난무한다.
지금 내가 하는 투자의 방향이 더 견고하고 탄탄해질수록
이젠 재미있고 그 누구와도 견줘 경쟁력있는
내 필사기가 된다.

p161
연구의 우수성은 그 문제를 얼마나 오랜시간 집중해서 생각하느냐에 달려 있따
매일 열심히 일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던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머리를 쓰지 않으면 아무리 열심히 해도 그저 그런 연구 결과밖에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자
나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

-열심히 하는것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열심히 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라고 느끼는 요즘, 스스로 생각을 이끌어 낼수 있어야 한다라는 것이다.

p162
열심히 일하면 남들보다 2배 이상 잘하기도 힘들지만 열심히 생각하면 남보다 10배, 100배 아니 1000배까지도
잘할 수 있는 것이다. 그야말로 열심히 생각하는 것에 인생을 송두리째 던져볼 만했다
이른바 'Work Hard'의 패러다음에서 'Think Hard'의 패러다임으로 일하는 방법 자체를 바꿔 탄 것이다.

-생각하자 무조건 어렵게 ,열심히가 아닌 생각하는 열심이로
나의 생각을 확장시키는 연습들이 필요하자,스스로 생각하자.

p200
깨어있는 시간은 1초도 쉬지 않고 공부와 고나련된 생각의 끈을 놓지 않는다
이렇게 1초도 쉬지 않고 생각하는 것을 일명 '1초 원칙'이라 한다
1초 원식을 실천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처음 투자를 생각한 내가 너무 잘하고 싶고, 성장하고 싶은 마음으로 가득해 하루종일 1초의 원칙을 나도 모르게 적용했던 것 같다. 그런 1초의 원칙이 내가 다음 나아갈 스텝을 알려줬지 않았을까, 그 원칙을 잠시 잊고있었다. 
다음 내가 성장의 길을 밝혀줄 1초의 원칙을 다시 생각하자.

p209
몰입은 오르막을 오르는 과정이다
그 과정이 처음에는 마냥 쉬지만은 않다
하지만 오르막을 오르는 과정의 어려움을 견뎌내고 계속해서 한 문제만 집중해서
생각하다 보면 그 문제를 해결하고 돌파해나갈 방법이 보인다
이때 중요한 것은 결과에 집착하지 않는 것이다
이 문제를 내가 풀 수 있을지 여부, 내가 이 목표에 도달 할 수 있을지의 여부를
생각하면 제대로 된 몰입이 이러나기 어렵다
'이 문제를 어쩌면 내가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나는 1초도 쉬지 않고 이 문제에 몰두하겠다.
과정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생각하면 역설적으로 그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보이는 순간이 찾아온다
결과에 대한 걱정은 몰입을 방해한다.

-결과만을 바라고 해결하고자만 한다면 오히려 꼬이게 된다..
빨리 해결하고 싶은것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 내가 무엇을 하는지 깨달았는지를 먼저 느끼며 과정 속 시행착오를 천천히 느껴보자. 근데 그게 참 어렵다.

p258
잠이 든 내내 그 문제를 생각했는지는 알수 없지만 잠에서 깨기 직전에 그 문제를 생각한 것은 틀림없다
이와 같이 잠에서 깨어날 때 그 문제와 함께 의식이 돌아오는 것이 몰입 상태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한 달 동안 몰입을 했다고 하면 한달 내내 이런 현상을 경험한다.

-선잠이란 표현으로 하루종일 몰입으로 그에 대한 생각 아이디어들이 튀어나온다라는 얘기들이 신박했다.
난 오히려 몰입도가 떨어진 부작용이라고만 생각했는데..

p329
문제 해결에 필요한 것은 몰입이지 걱정, 스트레스 또한 위기감이 아니다
따라서 역기능을 주는 걱정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순기능을 주는 몰입의 효과를 최대화하려고 노력해야 하며
이러한 방법을 터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내가 추천하는 것은 슬로싱킹,
즉 천천히 생각하기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명상에 가까운 행위다
온몸에 힘을 빼고 목을뒤로 기대고 편안하게 앉아 명상을 하듯이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 다음
자신이 고민하는 문제를 아주 천천히 생각한다

-특히 내게 필요한 방법인 '천천히 생각하기' 슬로싱킹이다.
성급한 마음에 빨리 해결하고 싶은 마음을 버리고 천천히 생각을 통해 스스로 갉아먹는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나아가보자.

p504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들어가려고 하면  수반되는 고통을 최소화 할수 있다

충분한 시간을 둑 ㅗ자율적으로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방법이 바로 '천천히 생각하기'다
천천히 생각하기에 의해 몰입에 들어가는 것은 마음의 산책을 하는 것과 같아 심리적인 부담이 ㅇ벗고
습관이 되면 오히려 즐겁게 실천할 수 있다
천천히 생각하기는 자율적으로 몰입도를 올리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p572
배운 대로가 아니라 배운 것을 토대로 응용하고, 세상에 없던 새로운 것을 창조할수 있어야 한다
국가적 역량의 신장 차원에서도, 개인의 창의적 역량 개발 차원에서도 
이제는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절실히 필요하다.

-Think Hard 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꼭 적용하자
스스로 끝까지 해답을 찾을려고 노력하자.
누군가 답을 줄것만을 기다리지 말자

p588
1분밖에 생각할 줄 모르는 사람은 1분 걸려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밖에 못 푼다
60분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은 그 보다 60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10새간 생각하는 사람은 그보다 600배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하루에 10시간씩 10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6000배까지,
100일을 생각하는 사람은 6만 배 어려운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다

-단계별로 스스로 생각하는 연습들을 통해
긴시간 긴 기간을 혼자 온전한 몰입을 해보는 것이다.
산책을하면, 혼자의 시간을 가져보자.

p637
돈을 많이 버는 것이 행복의 충분조건은 아니라는 것이다
부는 불편한 삶을 편리하게 해주기는 하지만 행복을 보장해주지는 않는다
행복을 돈으로 살수는 없다

그러나 행복은 몰입하려는 노력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만약 돈을 버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하더라도 몰입하여 그 방법을 찾아 일했다면
그 과정에서 행복을 경험할 수 있다
몰입으로 이어지는 Thik Hard의 패러다임에서는 학습이나 일을 하는 과정 자체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행복은 과정이다.
돈이 행복은 아니다.
과정속 나아가는 삶들이 나를 움직이고, 물음과 답들로
나를 이끌어주는 행복이다.

이것을 계속 , 해주게 하는 환경들을 위한 수단이 돈이다.

 


댓글


쪼코파이a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