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중 45기 6조 독서후기 #17_부동산트렌드 2024]_켈리의꿈

  • 25.07.02

책제목: 부동산트렌드 2024

지은이 & 출판사 : 김경민 & 와이즈맵

읽은날짜: 6월 30일-7월 2일

 

본:

 

2023 부동산 리뷰-금리의 유동성으로 인한 시장이 지나가고 그 이후에 오는 시기였기에 어려운 난이도의 시장은 아니었다고 한다. 부동산 시장은 크게 공간 시장과 금융시장의 영향을 받는데 공간시장 요인에 크게 영향을받았던 2010년대와는 다르게 2020년 코로나 이후 금융 시장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2023년 이후 하반기 이후 단기 예측으로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상승하고 있으며 총선, PF 대출만기 등으로 인해 부동산 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확률이 높다. 

 

2024년 빅이슈: 첫번째 이슈_거래량을 분석한다-올해 거래량이 늘어난 원인은 특례보금 자리론, 주택담보대출금리하락갈아타기 수요등 이라고 말했다. 서울 자가 보유 평균 6-7년을 잡고 현재 갈아타기 수요는 2015-2017년 매수한 즉 이전상승기 초반 에매수자들의 갈아타기 수요이다. 당시 거래량이 2010년대 통틀어서 가장 많았던 시기이고 직전 급락장에서 이들의 매수가격은 수익선이므로 오히려 급락장에서 갈아타기로 수요가 증가되었다.  두번째 이슈_중요한 건 기준금리가 10년물 금리이며 올해 초 반등장 원인 역시기준금리인상에 반해 하락한 국고채 10년물 금리에 있다. 반대로 올해말 다시 상승하는 국고채 10년말 금리는 반등하고 있고 서울 주택가격의 하락 요인이 될 수있다. 세번째는 PF대출 연장으로 대출이 계속 연장되면서 여러가지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네번째 빌라 공급은 그야 말로 처참한 수준이며 이는 빌라및 아파트 전세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빌라 인허가 물량은 급감했으나 빌라 전세 거래량은 제법 있는 시장이므로 빌라 전세를 고려하는 사람들이 아파트 전세로 넘어가며 아파트 전세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다섯번째는 불확실성으로 2024년 급격한 시공비 상승, PF대출의 연장, 금리인하 가능성, 짧아질 수 있는 사이클 등 상승과 하락 요인이 공존하는 해가 될 것이다. 

 

깨:

서울의 아파트 시장의 경우는 단기 투자가 아니라 오랫동안 보유하는 장기 투자 관점에서 시장에 접근해야한다는 점, 그러나 이 부분은 인구는 줄고 수요가 없는 지방도시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가치있는 아파트를 싸지 않더라도 적당한 가격에 사는 것이 제일 핵심인 것 같다. 책에서 상승장에서는 지역의 단지 소형 평형에 투자하라고, 59가 더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준다고 했는데, 이번 1호기를 투자하면서 느낀 게 59 선호도가 높다보니 단기간안에 가격이 오름폭이 꽤 커서 결국 상대적으로 아직 덜 오른 것 같은 84를 선택했다. 이론으로 아는 것과 실제 행동하는 것 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깨달았다. 정보의 비대칭화 감소로 부동산 싸이클이 짧아질 수 있다고 한다. 향후 공급은 없고 매매가는 주춤, 전세가 상승! 이 기간이 엄청 짧을 수도 있다고 한다. 미리 미리 가치를 알고 기민하게 가격을 주시하고 있어야지만, 투자금을 적게 들이고 수익율을 높이는 투자를 할수 있을 것이다. 

 

적:

시세트레킹할때 지역 랜드마크 가격흐름 꼭파악하기

 

 

 

 

 

 


댓글


켈리의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