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전세대출 규제는
다른방법으로 세팅하여 매수를 할 수 있지만,
추후 운영중 다음 세입자 못구할시 이용했던 전세퇴거대출도 규제가 들어와버렸는데요.
그렇다면 ‘리‘스크 방어와 감당이 안되므로
우리가 배운 투자원칙에 의해 서울 수도권 투자는 할수 없는게 아닐까요?ㅠ
수도권 임장다니던중 낙심이큰데요.
이번달에 서투기가 열리던데 실거주가 아닌 투자가 여전히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월부에서 사대 같은 방법을 알려주진 않을거같은데요ㅠ)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유어s님 우선 전세퇴거 대출의 경우, 이번 6/27일 이후 계약건에 대해서는 1억까지 가능하다고 발표를 한 상태이고, 현재 상황에서 리스크 방어 &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1) 기존의 전세가 맞춰진 집을 승계해서 매수하거나 2) 주인 분께서 전세를 사시는 방법등이 있을 것 같습니다. 규제의 경우 시장 상황에 따라서 다시 변화할 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이 부분은 추후 상황에 맞춰서 대응을 해가야 하는 영역일 것 같습니다!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유어님 안녕하세요. 규제로 인해서 고민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걱정하시는 부분이 만기 후인 2년뒤 신규 세입자를 구하지 못했을때 퇴거대출이 어려운 부분이실 것 같습니다. 물론 100% 확실한 부분은 없지만, 현재 수도권의 공급 상황을 살펴보았을때 전세가가 떨어질 가능성 보다는 올라갈 확률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만약 전세가가 올라간다면 기존 세입자도 갱신을 쓸 가능성이 높구요. 만약에 전세가가 올라깆 않더라도 현재 공급, 금리, 정책 등 시장 상황 상황상 전세가가 떨어질 가능성이 없지만 만약에 떨어진다고 하여도 시세보다 낮은 가격으로 전세를 뺀다고 생각하면 충분히 대응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런 상황에서 우리가 대출을 활용해야 하기에 투자시 대출을 쓰지 않고 리스크 대비용으로 만약 그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대출 + 그동안 모은 종잣돈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의 투자를 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고민이 좀 해결 되셨기를 바래요.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