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의 '뾰족함'을 찾아서!
이번에 처음 들었던 쟌쟈니 강사님의 지투실전반 강의는 실제 사례들을 통해 투자 가능성을 제대로 엿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어요. 그동안 기초반에서 배운 내용들이 훨씬 더 '뾰족하게' 다듬어지는 느낌입니다.
강의를 들으며 느꼈던 점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지방 투자의 핵심
"가격이 저렴하다는 건 그만큼 위험 부담이 적다는 뜻이더라고요."
이 말이 정말 인상 깊었어요.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건, 그 지역 사람들이 어떤 단지를 선호하는지, 즉 '선호도'를 파악하는 게 우선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달았답니다.
리스크를 잘 파악하고 대응하면서, 나만의 투자 범위와 우선순위를 딱 정해서 흔들림 없이 나아가야 한다는 점도 배웠어요. 어쩌면 지금까지 투자를 망설였던 이유가 모든 걸 너무 두루뭉술하게만 생각해서 그런 게 아닐까 싶었답니다. 특히 투자 범위에 대한 이야기는 외부 상황에 쉽게 흔들려서 이도 저도 아니었던 제 모습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임장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그저 체크리스트 한 장 한 장 채우기에만 급급했던 건 아닌가 싶더라고요.
내가 과연 나만의 언어로 그 지역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단순히 장수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가치를 나만의 시선으로 해석하고 설명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저평가 단지 찾기
그럼 '가격이 싸다'라는 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바로 저평가된 곳을 찾아야 합니다.
여기서도 역시 '선호도'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됩니다.
과거에 유사했던 시장 상황을 파악해 보아야 합니다.
그동안 이 부분이 정말 부족했던 것 같아요.
이제는 나만의 시선으로 과거를 통해 미래를 똑똑하게 유추해 봐야겠습니다.
"의미 없는 앞마당은 없다"라는 말씀도 정말 기억에 남습니다.
시장이 상승하든, 보합이든, 하락하든 그 모든 상황이 나의 실력을 키워주는 과정이라는 사실을 잊고, 그동안 너무 마음만 조급하게 생각하고 있었나 봅니다.
지금 내가 서 있는 이 '앞마당'에서 기계적인 활동이 아닌, 의미 있는 활동을 만들기 위해서는 결국 제 마음의 방향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투자 방향성
지방 투자는 크게 '가치 성장 투자'와 '소액 투자'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가치 성장 투자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여기서도 선호도 파악의 중요성이 다시 등장합니다.) 곳을 가격이 저렴할 때 사서 중장기적으로 보유하며 큰 시세 차익을 얻는 방법입니다. 소액 투자는 가치 대비 저평가된 곳(포인트는 가치 대비라는 점)을 적은 투자금으로 중단기 보유해서 좋은 수익률을 내는 방법입니다.
현재 저의 방향은 '소액 투자'입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직접 발로 뛰며 가치 대비 저평가된 단지를 찾기 위해 객관적인 시선으로 깊이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투자 의사 결정
투자의 방향성이 정해졌다면, 의사 결정을 위해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합니다.
지방 투자의 의사 결정은 3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저평가: 가치 있는 단지 중에서 가장 저렴한 것을 찾기
2. 투자금: 적은 투자금이 들어가는 것이 당연히 중요
3. 리스크: 리스크 역시 가볍게 여기지 않고 신중하게 관리
첫 지방 투자 실전반 강의를 듣고 나니, 일주일 전과는 정말 다른 생각들이 머릿속에 가득합니다.
제대로 된 투자 공부를 통해 실력을 쌓고, 좋은 투자처를 발견하는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그 과정 속에서 꾸준히 성장하는 제가 있길 바라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