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야]망으로 시작해 [근]성으로 완성한다!🔥야근입니다.
월부에서 투자 공부를 하기로 마음 먹은 지 5개월차에 드디어 가장 기대하던 지투기의 첫 수업을 듣게 되었습니다.
(2월 재테기 이후로 오랜만에 써보는 짤 후기!)
원래도 종잣돈 규모가 적어 지방을 우선해야겠다고 생각은 했었으나,
최근 서울/수도권 일부 지역의 가격 상승 및 부동산 규제 정책 등으로 인해 혼란한 상황과 더불어
강의 초반에 설명해주신 지방의 시장 상황 내용을 들으며 공급이 줄어들고 있는 지방 지역의 잠재적인 파급력을 알게 되니 지방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는 때가 되었구나고 생각이 되었습니다.
이전 강의나 특강에서도 중간중간 지방 시장에 대한 이야기가 잠깐씩 언급 될 때가 있었어서, 완전히 낯설고 어렵다는 느낌은 아니긴 했지만 그래도 제대로 각잡고 지방에 대한 이야기만 듣게 되니 생각보다 더 새롭고 재미있었습니다.
부산이라는 그 넓은 지역을 몇시간 만에 한판 정리 해주신 내용도 신기했습니다.
덕분에 부산이라면 놀러 갈 때 빼고는 전혀 아는 바가 없었던 저도
생각보다 많은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ㅋㅋㅋ
<잊기 전에 기록하기>
지방 시장의 매매/전세 그래프의 상관관계(볼펜 2개 붙여그리기~),
그리고 공급 물량과 가격과의 상관관계도 신기하고 흥미롭게 느껴졌습니다. (Positive)
---
<지방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기준 3가지>
- 인구수 = 수요
- 빈 땅이 많아 땅의 가치가 떨어지므로 “건물 가치” 확인하기. (일부 지역은 제외)
- 지역별로 선호하는 동네/단지가 정해져 있다. (정량적인 논리대로 파악할 수 없는 곳도 많다. 정성적 평가 중요)
저는 이 중에서 특히 처음 알게 된 3번 내용이 가장 흥미로웠습니다.
나의 눈과 가격이 일치하지 않을 때는.. 의심을 해보자. 부동산 사장님께 여쭤보자!!
---
이거 해도 되나..? 싶은 단지가 기회를 줄 수 있다.
약점 ≠ 저가치, 약점이 있지만 확실한 강점이 있는 곳!!
---
랜드마크의 가격을 모두 외울 필요는 없다.
해당 지역의 천장 가격과 그 변화 추이를 아는 것 만으로도 해당 지역을 대변하여 파악 가능.
---
<적용할 점>
이틀만에 완강은 솔직히 버거워서 목요일까지 완강을 목표로 잡았었는데
잔쟈니님 오프강의 수강 초대권의 기회가 열려있다니… 이건 못참지! 이번 임장지가 무려 창원인데!!
너무 속보이는것 같기는 하지만 이 또한 운영진의 독려 방법일테니…☆
(내용은 우당탕탕인데 작성하는데 벌써 한시간 반이 흘렀다 세상에나..ㅠ 다음번에는 유디님 말씀처럼 한시간 이내컷 해야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