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배당받는도비입니다.
한 지역을 이해하기 위해
각 단계별로 취해야할 행동들을 꼼꼼히
일러주셔서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것은 꼭 해야겠다’
BM할 요소를 명확히 짚을 수 있었습니다.
#1. 첫 임장 전
위성지도를 통해
아파트가 모여있는 것에서 나아가
그 아파트의 모양을 보고 연식을 파악하여
사람들이 선호하는 지역인지를 더 잘 알 수 있겠다.
#2. 분위기 임장 중
분임이 끝나고
백지도를 통해
생활권을 나누고, 우선순위와 느낌을 정리해보자
생활권을 정리할 때
해당 생활권의 랜드마크 단지도 넣어보자.
입지분석과 분위기 임장한 내용을 종합하여
분위기 임장 결론 원페이지를 만들어보자.
원페이지만 보더라도,
그 지역을 정리하고 핵심 선호요소를 파악할 수 있다!
#3. 단지임장 중
“있을 것 있고 없을 것 없는 단지인가?”
그리고 그 거리는?
#4. 시세지도
생활권 내 선호요인을
자세하게 파악하신게 인상깊었다.
나는 오링턴이 신링턴보다 매곡의 중심상권과 가까워
더 선호한다고 생각했는데
프메퍼님은 두 단지의 가격흐름을 붙여보고
신링턴이 항상 오링턴보다 가격이 높았던 점을 근거로
‘매곡에서는 상권 접근성보다 연식을 더 중요시 하는구나’라는 생각을
이끌어내신 것이다.
시세지도를 그릴 때 선호요인이 무엇이고,
어떤 요인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확인해봐야겠다.
#5. 가설검증
한번도 해보지 않아서 그런지
강의를 들었을 때 한번에 이해되진 않았다.
강의 내용과 교안을 반복해서 살펴보는 과정에서
전부는 아니지만 대략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게 되었다.
과거 시장흐름과 공급이 비슷한 시기에
수익률이 좋은 단지들을 살펴본다면
지금 우선순위로 투자해야 하는 단지들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랜드마크의 가격흐름과
시기별 기사 및 공급상황을 대조해서
공급에 정직하게 반응하는지를 확인한다.
정직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했다면
현재 시장이 과거 어느 시기와 비슷한지를 확인한다.
과거 시기 수익률이 좋았던 단지들을 살펴보고,
현재 단지의 투자 우선순위를 결정해보고
단지까지 정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이라 어려울 수도 있어서
내가 궁금했던 것을 한가지라도 이번 임보에 적용해보자
주장, 근거, 적용, 결론 1page를 통해
궁금증을 해소해보고 투자와 연결지어보자.
#6. 매물임장 전
매매/전세 실거래가
전세 개수
타겟가격을 미리 카톡 나에게 보내기를 통해 알아놓고 가자.
사장님이 가끔 얼마면 살꺼에요라고 물으셨을 때
선뜻 대답하지 못한 기억이 있다
'23년 초, 24년 초 가격
저층가격
실거주 거래 가격을 파악해서
타겟가격을 알아놓고 가자.
#7. 매물임장 후
실제로 거래되는 가격 또는
어느 정도까지 조정되는지 등을 파악하여
살아있는 호가를 파악하자.
내가 뽑은 top3 물건에 대해
매물임장 후 결과를 남기기 원페이지를 만들어보자.
#8. 지역 내 비교평가
지방에서는 수도권보다
빈땅이 많아 입지독점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연식,환경,지역만의 선호도가 중요하고
광역시에서는 입지가,
중소도시에서는 연식이,
보다 중요성을 지닌다는 것을 알고
비교평가에 임하자.
#9. 지역 간 비교평가
지역 간 비교평가를 할 때,
도시→생활권→단지의 위상을 통해
비교평가를 할 수 있구나.
#10. 앞마당 정리
생활권별 선호도 상중하 단지를 매겨보고,
그 안에서 생활권 랜드마크/투자관심단지/구축대장단지를
시세트래킹 단지로 선정해본다.
아실 매물증감을 통해 전세물량과
대표 입주단지 전세 개수를 트래킹한다.
단지가격, 매매 전세 매물, 절대적/상대적 저평가 여부, 투자 검토 여부를 파악한다.
투자할 만한 지역 3곳을 반드시 전수조사한다.
#11. 5분위시세표
5분위 시세표에 대한 설명이 어려웠지만
일단 만들어보자.
*적용할 점
1. 분위기 임장 결론 원페이지
2. 시세지도에서 생활권별 선호요인 작성
3. 가설검증 1개라도
4. 임장 전 타겟 가격 알아보기
5. top3 원페이지
댓글
배당받는 도비님 BM포인트들을 너무 잘 정리해주셨네요 :) 강의를 하나하나 열심히 들었다는게 느껴지는 후기입니다!! 본인 레벨에 맞게 적용할 점 하나씩 적용해보시고 어려운 점 있으면 언제든 물어봐주세요 :) (댓글로도 괜찮습니다!!) 응원할게요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