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을 보면서 광역시와 중소도시 간 비교평가,
지역별 선호도는 어떻게 아는지 참 궁금했었는데
지방투자에 있어서 선호도 파악, 비교평가에 관한 의문의 상당 부분을
2강 강의로 풀 수 있었다.
좋은 강의 준비해주신 프메퍼님께 다시금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돈 버는 투자를 원하면서도
월부 안에 있으면서 내 목표는
MVP, 실전반, 월학에 가는 것 등이었던 것 같다.
하지만 진짜 강의와 앞마당을 늘려가며 중요한 것은
투자실력을 쌓아서 스스로 투자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정도로
되는 것이다.
잊지 말자. 내 목표는 스스로 투자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실력을 쌓아가는 것이다.
2. 1page 가설검증 페이지로 근거를 갖고 투자에 적용하자!
"주요 모형을 가져와서 체계적으로 확인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은 계속해서 실수를 되풀이할 것이다."
-찰리멍거 바이블
사실 1호기 투자할 때 전수조사를 한다고 했는데도
교통 안 좋은 몇 지역은 아예 제끼고 봤고,
비교평가를 통해 좋은 단지를 뽑는다고 했는데도
내 편견이 작용해서 어느 지역의 단지는
거의 빠지기도 했다.
이는 다 체크리스트가 아니라
나의 편견이 작용한 탓이었다.
이제부터는 의문, 궁금증이 들고
애매한 것이 있으면
뇌피셜이 아닌
먼저 주장 - 근거 - 결론 - 적용이 담긴
가설검증페이지로 꼭 검증한 뒤에
투자에 적용하겠다.
3. 정석대로 하는 게 가장 빠른 길
이제껏 비교평가를 할 때
3-5개 단지 같이 놓고 비교하거나
아니면 가치를 잘 모르겠으면
전고점을 많이 보곤 했다.
하지만 공급이 많으면 전고점이 제대로 안 찍히기도 하고
거래가 안 되면 전고점이 안 찍혀있기도 하다.
전고점이 만능은 아니기에
지역별 특징 확인 → 가치와 가격 비교평가 => 비교평가 검증 을 하여
단지별 선호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이를 통해 앞마당 5분위 시세표를 작성해보겠다.
(되도록이면 지방 5분위 시세표도 작성하겠다.)
이번 강의를 통해서
내가 월부강의를 왜 듣는지
좀더 명확하게 머릿속에 떠올리게 되었다.
이제부터는 투자에 핵심적인 요소를 하나씩 적용하여
투자실력을 높이도록 하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