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임장보고서 직장 궁금한점

  • 25.07.11

 

직장 작성시 궁금한점이 있어 글 올립니다~

인구수 대비 종사자수가 적다는건 외부에서 벌어온다는 뜻으로 해석해도 되는건가요?

부천시로 예를들면 인구수 약 77만명 종사자수 30만명인데 어떻게 생각해야하는지 궁금하네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에 대한 알림🔔을 받아보세요! 
앱을 설치하는 방법은 앱 출시 공지사항 ← 여기 클릭!


댓글


진심을담아서creator badge
25. 07. 11. 12:48

안녕하세요 :) 인구수 대비 종사자 비율은 지역 내 일자리가 많은 수준인지를 판단할 때 도움이 됩니다 :) 거주지 기준 원천징수 수준이 직장 기준 원천징수보다 크다면 지역 내 일자리가 크다고 볼 수있고 반대라면 지역 바깥에서 벌어오는 게 크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부주낙낙
25. 07. 11. 13:44

안녕하세요 느확님^^ 인구수 대비 종사자수가 많다면, 지역에서 일자리가 많을 가능성이 있을 것 같아요.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구요. 기준이 되는 퍼센트를 생각해본다면, 수도권의 평균 수치를 한번 찾아보고 그 평균보다 높은지 낮은지를 살펴볼 것 같기도 합니다. 다만 이런류의 비율은 절대적인 수치도 함께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비율이 낮더라도 절대적으로 종사하는 사람이 많다면 또 얘기가 달라질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통상 살펴보는 것이 종사자수가 얼마나 되는가?를 살펴봅니다. 부천시 같은 경우는 종사자수가 30만명이 넘어서 지역 내에서 일자리가 있고 외부에서도 일부 일자리 수요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양적인 면으로는 그렇고, 직장의 질적인 면을 함께 살펴보면 외부의 수요를 적극적으로 가져올만한 직종들이 아니라는 것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질문 주신 외부에서 벌어오는 수입이 더 큰지, 내부에서 버는 수입이 더 큰지를 소득수준을 통해서 살펴볼 수도 있어요. 위에서 댓글로 말씀주신 것처럼 지역 내 직장에서의 수입(원천징수소득), 거주들의 수입(주소지 소득)의 비교를 통해서도 유추해볼 수 있는 면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서울 수도권의 경우 강남이라는 큰 일자리의 영향이 크다는 점도 더불어 생각해보시면 도움되실 것 같아요. 임장보고서 직장 부분 파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