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을 투자하는데 있어 투자 기준과 가치판단 기준을 배울수 있었습니다.
지방 사이클 특징으로는 전세가가 오르면 매매가도 같이 오르는 현상이 있기에
전세가를 잘 트래킹해야 한다.
=>관심있는 단지의 전세가를 트래킹 해보아야 겠습니다.
지금 현제 지방은 대부분 싸기 때문에
선호도가 높은 지역, 생활권, 물건부터 공부해 두는 것이 좋다.
=>부산에서도 선호도가 높은지역인 동부산권과 동래 중심권을 먼저 앞마당으로 만들어야 겠습니다.
=>각 구별 생활권별 특징을 설명해주셨는데 직접 임장을 해보며
강의내용과 나의 느낌을 비교해보아야 겠습니다.
인구 : 생활권별 인구를 보니 30~50대가 많이 사는곳과 50대 이상이 사는곳이 구분이 되었습니다.
인구분석 만으로도 입지의 느낌을 알수 있었습니다.
직장 : 질좋은 직장이 많은곳이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학군 : 대구의 비해 학군은 약하지만 그래도 부산 지역내 학군을 상대평가 하여 선호도가 높은 곳이 있었습니다.
환경 : 부산은 언덕이 많아 같은 조건이라면 평지가 좋지만,
땅의 가치가 있기에 언덕의 신축, 준신축도 선호도가 있었습니다.
외곽의 신도시 보다 선호하는 생활권의 구축을 더 선호한다.
공급 : 25년이후 3년간 입주물량이 부족해지기에 전세 및 매매가 상승이 올수 있기에
전세가 변화를 잘 지켜봐야 합니다.
교통 : 서울 처럼 영향이 있는것은 아니지만 플러스 알파라고 생각.
생활권별 단지별 가격을 비교하는 강사님의 방식을 보여 주셨는데요.
=>이번에 임장하는 부산남구의 단지를 강사님께서 설명하듯이 비교 평가해봐야 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