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님과 함께한 2주차 강의♥
‘나는 이제 임보 쓰기는 쉽지~’라고 생각했다가 뒤통수 맞은 2강 후기를 시작합니다!
시간이 많고 임보를 잘쓰는 사람이 투자하는거 아니에요!
포기하지만 않으면 결국 투자하게 돼요★
강의를 시작하며 처음을 열어주신 유디튜터님의 말씀이었습니다.
임보를 예쁘게 쓴다고 투자를 잘하는 것이 아니다!
내가 손품과 발품을 판 내용을 잘 정리해서 넣으면 되는 것인데 그동안 임보를 너무 예쁘게 쓰려고 노력했던 것 같아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임보 예쁘게 꾸밀 시간에 시세 한번이라도 더 트래킹해야겠단 다짐을 하게 되었어요.
꼭 기억해야할 것 (임보 중수)★
남의 장표를 의미없이 벤치마킹해서는 투자로 연결되지 않는다
작성의 목적에 맞게 꼭 필요한 정보를 담고, 투자에 의미있는 사고를 연습
새로운 템플릿 No! 2-300장 No! 투자에 필요한 것만 작성하자!
그래서 이번 임보부터는 각 장마다 투자에 필요한 정보와 나의 생각 위주로 담기 시작했습니다!
안! 켠! 쓴!
제일 어려운 그것 안켠쓴!
책상에 앉는다, 컴퓨터를 켠다, 임장보고서를 쓴다!
매일 루틴에 넣는 그 어렵다는 안켠쓴, 매일 1장이라도 쓰자 다짐하지만 여전히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목표를 잘 설정해서 이번달에는 결론까지 가는 임보를 완성하자!!
이번 강의를 통해 새롭게 깨닫고 적용할 점
하나, 인구
인구가 늘고 있다? → 주목할만한 점
인구가 줄어든다? → 나쁜 것은 아니다 (왜? 대한민국의 인구는 지금 줄어들고 있다.)
수도권은 땅의 크기에 비례해서 인구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 따라서 수도권은 인구가 증가한다고 무조건 좋은 것이 아니다.
인구분석은 수도권보다 지방이 더 중요하다.
수도권은 하나의 생활권이지만, 지방은 그렇지 않기 때문!
인구 이동 → ‘인구를 주고받나보다’ 라는 생각에서 끝내지 말고, 주변지역과 해당지역의 ‘위상’을 고려하여 공급의 영향력에 대해 실전 투자와 연결해서 생각해보기.
둘, 소득수준 추가하기
서울시 25개구 전체, 그리고 경기도 전체의 소득 수준 그래프를 추가해보기
(데이터가 모든 것을 말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소득수준 데이터를 통해 어느정도 투자와 연결시켜볼 것)
→ 주변 지역과의 상대적 위상 파악하기
셋, 직장
대기업 비율이 0.1% 이상이면? = 대기업이 많은 편이다.
인구수 대비 종사자수 비율이 100%가 넘는 지역? = 업무지구다!
직장 데이터 분석시 → 인구수 대비 종사자수 비율 확인하기
넷, 호재는 하락장에서 다 빠지고, 상승장에서는 가격에 반영된다.
입지를 개선시킬 요소를 찾아보고 판단하는 연습을 하자
호재가 반영되기 전에 투자하자
재개발은 사업시행인가 이후 단계부터 지켜보자
다섯, 급매는? 중간층 가격대비 10% 싸면 급매라고 한다
이제 열심히 시세따러 GO!!!
댓글
나방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