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2주차 강의_지역 가치를 판단하고 투자 후보지 '앞마당' 만드는 법
- 느낀점
2강을 들으며 느끼점을 간단히 작성해보겠습니다.
1. 임장보고서의 작성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해 심플하게 알게 되었습니다.(더 좋은 입지의 매물을 사기 위해서)
2. 임장보고서의 명확인 기준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직장,교통,학군,환경)
3. 이전 강의만 들었을때는 입지의 가치만 생각했으나, 단지임장에 대한 생각은 반영하지 못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며 투자를 진행 할 때는 입지 조건+단지상태 또한 반영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4. 좋은단지가 있고 나쁜단지가 있다가 아닌 좋은 단지와 덜 좋은 단지가 있다라는 마인드로 봐야 좋은 투자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느꼈다.
5. 인구의 편입은 전입한 곳에 입주 물량이 늘어서 편입되기보다는 큰 이슈 발생되어 이동되는 것이 크다는 것을
느꼈다.
6. 서울 입지분석과 지방입지 분석에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느꼈다.
7. 주변 환경을 볼 때 주변 대형 마트 및 백화점을 보더라도 그 상권의 구매력을 알아봐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8. 호재가 있어도 그 호재가 직장 및 학군 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호재가 아니면 덜 좋은 호재라는 것을 느꼈습니다.
9. 분위기 임장도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점이 있고 보고 느껴야하는게 다르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10. 시세트레킹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 적용점
1 .임장보고서는 목표가 아닌 필요한 것 임을 인지하고 적용하자.(과제를 위한 작성이 아닌 내 미래의 성공을 위해
내게 필요한 일임을 인지하자.)
2. 임장보고서는 임장 후 의무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아닌 나의 투자 계획의 밑거름이 될 발판이다.(무리한 임장보다
지치지 않고 오래 유지 할 수 임장을 통해 성장하자.)
3. 실패없는 임장보고서는 책상에 앉고,컴퓨터를 켜고, 임보를 쓰는것 이라는 말을 보고 결국 임장보고서를 나의
루틴에 적용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4. 인구의 편입에 대해 더 깊숙히 들여다 보고 많은 인구가 편입되는 곳에 어떠한 큰 이슈가 있는지를 파악해보는
것을 임장보고서에 적용하면 좋을 듯 하다.
5. 서울 입지분석은 직장,교통,학군,환경,공급의 순서로 볼 수 있으나, 지방의 경우 교통이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아
현재 지방 투자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학군,환경,공급의 위주로 판단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6. 상권 분석 시 해당 상권의 내부 1층이라도 보고 구매력이 있는곳인지 파악하고 정리하는 것을 적용하면 좋을 듯
싶습니다.
7. 호재가 있는 곳이라도 해당 호재 구역이 큰 메리트가 있는 호재인지와 직장의 접근성이 좋은지를 파악하여 정리하는
것을 적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
8. 지리,생활권 구분 및 입지, 투자 우선순위를 정리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자.
9. 시세트레킹을 적용하여 올해안에 1호기를 만들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
댓글
팬더아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