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실전준비반 - 한 달안에 투자할 아파트 찾는 법
권유디, 너나위, 코크드림, 자음과모음

권유디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잊기 전에 기록하기
💡 투자하는 게 중요하다: 가치와 가격 비교
💡 ‘좋다/싫다’ 프레임은 투자 판단에 방해된다
→ "더 좋다 / 덜 좋다"로 비교하며 판단하자
→ 감정 아닌 분석으로 접근해야 지속 가능하다
💡 투자계획서는 목표로 가는 훈련 과정이다
→ 잘하려고 하기보다 익숙해지는 것이 우선
→ 한 장이라도 투자에 필요한 내용을 쓰는 게 중요
💡 임장 후 입지만 보고 판단하지 말자
→ “교통 + 입지” 가치와 “단지 자체의 가치”를 함께 봐야 함
예:
평촌 – 교통은 좋지만, 소형 단지 위주로 실거주 매력 낮음
부천 – 교통은 다소 약해도 단지 자체가 매력적
→ 종합 가치 기준으로는 부천이 우위 → 부천 투자 추천
💡 임보는 단순 후기 말고, 투자와 연결되는 내용 중심으로 써야 한다
💡 지도를 자주 보면 감이 생긴다
→ 반복적으로 보면 공간 구조에 익숙해지고 입지 판단이 쉬워진다
→ 판단 기준은 “좋다/싫다”가 아니라 더 좋다 / 덜 좋다로!
💡 포기하지 않는 환경을 만들자
→ 루틴을 만드는 것보다 포기하지 않도록 환경을 세팅하는 게 핵심
→ 독강·임투인 등 커뮤니티 활용
💡 인구는 주택 수요와 연결된다
→ 아무리 좋은 아파트여도 수요 없으면 의미 없음
→ 인구 변화 이유, 땅 면적 대비 밀도도 함께 확인하자
💡 고소득 지역일수록 상승장에서 가격이 더 민감하게 튄다
→ 외제차 많으면 고소득 비율 높은 지역일 가능성 있음
💡 인구수 대비 종사자 수가 많으면 업무지구일 가능성 높다
💡 학군은 수요를 만들어낸다
→ 한 번 형성된 학군지는 쉽게 무너지지 않음
→ 2016년 중학교 학업성취도 자료로 면학 분위기 판단 가능
💡 대형 유통시설 입점은 입지 검증 신호다
→ 백화점·대형마트: 사전 입지 분석 거치고 들어옴
→ 스타벅스: 상권이 이미 형성된 곳에 입점
💡 아파트 밀집 지역은 선호도 높음
→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에서 안정감 느끼는 경향
💡 투자 판단은 리스크와 수익을 저울에 올려 비교하는 것
→ 더 큰 편익이 있는 곳을 선택해야 한다
✅ 나에게 적용할 점 찾기
▶️ 선호상권 / 비선호상권 / 생각
▶️ 입지분석 – 정리 및 핵심요소
💡 입지분석은 수요와 연결해서 의식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 입주 독점성 크고, 수요가 많은 곳이 좋은 입지
💡 하락장·보합장에는
→ 호재가 있는 단지를 선택하고 기다린다
(단, 기본적인 입지와 상품성도 만족해야 함)
💡 재개발·재건축은 호재 시점 확인 필수
→ 착공 이후가 진짜 호재
→ 사업시행인가 이후인지 꼭 체크!
💡 시장 상황에 따라 정책 영향력 다름
→ 하락/보합장: 정책·규제 영향 큼
→ 대세 상승장: 정책 영향 거의 없음
▶️ 분임할 때: 상상과 예측하기
▶️ 분임 후 귀가길에는 복습하기
▶️ 시세지도 보는 법
댓글
하세나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