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이번달 임장지를 창원으로 선택한후 듣게 된 강의입니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의 가치판단법은 정반대라는 얘기는 들었지만..
그래서 도대체 뭘 어떻게 판단해야하는건지 막연했는데..
조금은 알것같은 강의였습니다. (200% 채워서 다시 들어봐야겠습니다.)
지난주 분임시.. 재건축이 진행되고있는 모습을 보며..
지방은 땅의 가치가 없다고했는데.. 재건축이 진행된다는건 땅의 가치가 인정된다는 건가?? 뭐지? 싶었는데.. 강의에서 아주 이해하기쉽게 설명해 주셨습니다.
도심 중심부 아파트를 짓다가.. 외곽으로 뻗어나가고.. 그후 땅의 가치가 있는곳은 다시 낡은 중심부를 재건축한다는 설명..
그런이유로 최근 몇 년간 대구와 부산이 중심지 재건축으로 공급이 많았던거고..
외곽으로 뻗어나가다가 다시 중심부 재건축으로 진행되고있는곳이 창원이라는 것..
아하.. 창원도 땅의 가치가 있는곳이구나..
임보에서 학원이 많고 학업성취도가 높으면 학군지로 표시하긴했었지만.. 이게 학군지인건가? 미심쩍었던 부분도.. 학군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 다시 이해할 수 있었고..
유흥가와 섞여있던 상남학원가에 대한 의구심도 지방의 인구로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됐습니다.
지방에서 공급과 미분양의 직접적인 영향력도 알게되고..
결론이 아니라.. 멘토님이 지방에 대해 판단하는 방법으로 알려주셔서 더 좋았던것같습니다.
이론은 알았지만.. 다음주 단임이 좀 걱정이 되긴합니다..
(솔직히 오가는길이 힘들뿐, 지방투자가 쉬울줄 알았습니다.. 근데 아닌것같아요.. 수도권에비해 더 예민하게 분석을 해얄것같습니다. )
지방단임.. 일단 수도권처럼 판단하면 안됨!
연식만 좋다고.. 1등생활권이라고 다 좋아하지않으니.. 그 도시의 개별성도 파악하고, 개별단지의 특징과 그 지역사람들의 선호도를 파악해야한다..
입지와 위치외에도 실거주자를 끌어들일만한 요소가 있는지 확인해봐야한다..
아 어렵지만.. 단임하는 틈틈이 되뇌여서 봐얄것같아요..
잘 적용할수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bm
비교평가로 가격에 영향을 주는 선호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해보는것도 좋았습니다.
연식,밀집,접근,학군을 넣어 임보에 적용해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