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택자 전제, 전세투자용 수도권 아파트를 매수하는 경우
: ‘자금 모으기-매물 찾기 및 고르기-계약’까지는 예상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a. 기존 전세 세입자를 안고 매수하거나 b. 매도인이 전세 세입자가 되거나 하는 경우는 그 자금이 오가는 전반적인 과정을 어렴풋이 예상해볼 수 있었는데, c. 새로운 전세 세입자를 구하는 케이스가 예상이 안됩니다. 세입자의 전세 자금을 받아야 제가 매수할 자금이 생기는데, 미리 대출을 받아서 매수한 후에 전세 자금으로 대출금을 메꾼다고 해도 627정책으로 인해 불가능한 것 아닌가 싶어서요. 그리고 전세 세입자가 이사를 나갈 경우, 다음 세입자가 들어오지 않으면 전세자금을 줄 방법이 없어보이기도 하구요!
수도권 1주택 전세투자ing 전제, 2주택으로 수도권 아파트를 추가 매수하는 경우
: 627정책으로 인해 1번 케이스와 다를 것 같긴 한데, 구체적으로 그림이 잘 안그려집니다ㅜㅜ 2주택 매수용도가 실거주이냐 전세투자용이냐에 따라서도 많이 다르겠죠?
제가 어떻게 해야하는지 시간순으로 그림을 그려보고 싶습니다. 꼭 답변 부탁드려요!
그리고, 이번 강의로 자신감도 생기고 필요성도 느껴 에너지가 솟게 되었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
댓글